원외처방시장에서 대형 품목들의 부진이 심화되고 있다.
의약뉴스가 최근 발표된 원외처방동향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분기 100억 이상의 처방실적을 기록했던 25개 품목 중 절대 다수인 17개 품목이 역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나마 역성장을 면한 8개 품목 중에서도 절반이 넘는 5개 품목이 1%대 성장률에 그쳤고, 두 자릿수를 넘어선 품목은 비리어드(길리어드)가 유일했다.
지난해 1분기 352억원의 처방액을 기록, 379억원의 리피토(화이자)에 뒤쳐졌던 비리어드는 1년간 13.7% 성장하며 400억원의 처방실적을 달성, 1.2% 성장해 383억원의 처방액에 그친 리피토를 제치고 선두로 올라섰다.
비리어드에 이어서는 리리카(화이자)가 142억원의 처방액으로 7.8% 성장했고, 리피로우(종근당)이 114억원으로 3.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외에 아리셉트(대웅제약)와 플래리스(삼진제약), 리피토(화이자), 트라젠타듀오(베링거인겔하임), 자누메트(MSD) 등도 전년 동기보다 처방액이 늘었지만, 성장률은 1%대에 그쳤다.
반면, 타미플루(로슈)는 예년보다 독감시즌이 이르게 시작된 탓에 처방실적이 12월로 당겨져 1분기 처방액은 전년 동기대비 76.4% 급감했다.
뿐만 아니라 특허가 만료된 바이토린(MSD)의 처방액은 전년 동기대비 47.7% 급감, 분기 100억대에서 물러섰다.
바라크루드 역시 약가인하 여파가 이어진 탓에 처방액 규모가 전년 동기대비 31.5% 급감했고, 쎄레브렉스(화이자) 또한 27.0% 역성장했다.
여기에 더해 란투스(사노피)가 18.7%, 알비스(대웅제약)은 16.1% 역성장, 총 6개 품목의 역성장폭이 10%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뿐만 아니라 세비카(다이이찌산쿄)의 처방액은 9.6%, 트윈스타(베링거인겔하임)가 8.3%, 크레스토(아스트라제네카)가 7.3%, 자누비아(MSD)는 7.1%, 트라젠타(베링거인겔하임)는 6.9% 역성장했다.
이외에도 아토르바(유한양행)가 3.0%, 엑스포지(노바티스)가 2.6%, 아모잘탄(한미약품)이 2.4%, 플라빅스(한독)와 노바스크(화이자)가 1.5%, 하루날(아스텔라스)은 0.4% 뒷걸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