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케미칼이 혈우병 치료제 NBP601이 미국 FDA의 최종 시판 허가를 받음에 따라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다.
SK케미칼은 지난 2009년 호주 CLS사에 기술수출한 NBP601이 FDA로부터 최종 시판 허가를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A형 혈우병은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13가지 인자 중 제8인자가 부족할 때 발생하며, 기존 치료제는 분리된 두 개의 단백질이 연합된 형태로 제8인자를 공급했다.
이에 반해 NBP601은 ‘단일 사슬형 분자구조를 가진 제8인자’로 두 단백질을 하나로 완전히 결합시킴으로써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효능 및 약효의 지속시간을 향상시켰다.
구체적으로 기존 A형 혈우병 치료제는 주당 3~4회를 투여한 반면 NBP601은 주당 2회만 투여해도 되고, A형 혈우병 인자를 대체하는 치료법에서 가장 심각한 부작용인 중화항체반응은 임상시험에서 한 건도 보고되지 않았다.
NBP601를 사들여 FDA 허가를 받은 CLS는 올해 중반에 출시 계획을 표명한 상태로, 기존 치료제인 바이오젠 아이덱의 엘록테이트 대비 편의성 및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점을 내세워 시장 공략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리서치업체 데이터모니터에 따르면 세계 A형 혈우병 치료제 시장이 2014년 71억 달러에 달하고, 이 가운데 미국 A형 혈우병 치료제 시장은 2014년 30억 달러로 전체의 절반 가량을 차지한다.
특히 미국 A형 혈우병 치료제 시장은 올해 32억 달러, 2018년 35억 달러를 거쳐 2020년 39억 달러, 2023년에는 41억 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NH투자증권 이승호 애널리스트는 30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기존 약물인 엘록테이트는 2015년 3억1970만 달러의 매출을 올린 것과 비교해 추산, NBP601은 오는 2023년 6억1900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SK케미칼은 매출액 대비 5%의 로열티를 받게 돼있어, 예상 매출액을 달성할 경우 365억 원을 수취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승호 애널리스트는 “2014~2015년 별도 및 연결 실적이 역성장으로 마무리했다”면서 “2017년 CSL627 로열티 기반으로 바이오 부문 실적의 턴어라운드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