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21 21:36 (월)
‘마크로젠 여성과학자상’ 고려대 이경미 교수 선정
상태바
‘마크로젠 여성과학자상’ 고려대 이경미 교수 선정
  • 의약뉴스 김창원 기자
  • 승인 2016.05.19 13: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자체기술로 면역세포치료제 개발…나노바이오-세포치료 기술 접목 시도

생화학분자생물학회(회장 유명희, 한국과학기술원 의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가 선정하고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대표이사 정현용)이 후원하는 ‘제12회 마크로젠 여성과학자상’ 수상자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이경미(李景美, 52세) 교수가 선정됐다. 시상식은 5월 19일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16년도 생화학분자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진행된다.

제12회 마크로젠 여성과학자상을 수상하게 된 이경미 교수는 최근 차세대 항암치료법으로 부각되고 있는 면역세포치료제를 국내 자체기술로 개발하여 ㈜ 엔케이멕스에 기술이전 하였으며, 해당 연구 결과를 ‘캔서 리서치(Cancer Research)’지에 발표했다.

이 교수가 개발한 면역세포 확장법은 세계적으로 고유한 조성물과 방법을 사용해 세포들의 활성 및 증식 메커니즘이 명확히 규명된 생화학 분자생물학적 연구결과에 기반한 세포치료기술이다.

특히 기존 기술에 비해 비용 절감 및 치료 효과가 월등하고, 기존의 세포치료제가 취약했던 난치성 고형암에도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이고 있어, 맞춤형 세포치료법으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이 교수는 분자 생물학적 지식을 나노기술과 접목해 새로운 융합학문을 도출하는데 성공했으며, 나노크리스탈, 나노와이어, 나노파이버, 나노젤, CNT 등의 신 나노소재를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에 도입해 세계 최초로 나노바이오 기술과 세포치료기술의 접목을 시도했다.

융합연구뿐만 아니라, 이 교수는 기초연구에도 전념하고 있어, 현재 세포치료제로 개발 중인 NK세포의 활성 유전자를 발굴하고 NK세포 활성화 및 분화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을 세계최초로 규명함으로써 그 연구 성과들을 ‘실험의학회지(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에 발표했다.

이러한 폭넓은 연구 활동으로 이 교수는 최근까지 국내외 총 85편 이상의 SCI(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급 논문을 발표했고 총 30건의 특허를 출원 및 등록했다. 특히 다수의 연구 업적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저명한 국제학술대회에 30회 이상 연사로 참여했고, 최근에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의 선임 편집자로 추천 받았으며, 이외에도 ‘안티바디즈(Antibodies)’, ‘국제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그리고 ‘심장혈관질환 연구저널(American Journal of Cardiovascular Disease)’ 등의 편집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 교수는 그간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운영위원과 학술위원, 국가 대통령 장학생선발위원, 미래부 기초연구협의회 의원, 미래부 바이오추진위원회 의원 등을 역임하며 대내외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동안의 연구 실적 및 학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일천젊은의과학자상, 생화학분자생물학회지상, 고려대학교 교우회 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한편 마크로젠 여성과학자상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여성과학자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우수한 여성과학자들에 대한 지원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만들고자 2005년부터 생화학분자생물학회가 수상자를 선정하고 마크로젠의 후원으로 상패와 함께 5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되고 있다.

올해로 12회째를 맞은 마크로젠 여성과학자상의 역대 수상자로는 경상대 장호희 연구원, 서울대 김빛내리 교수, 서울대 백성희 교수, 이화여대 이공주 교수, 서울대 이영숙 교수, 경희대 손영숙 교수, 서울대 묵인희 교수, 충남대 조은경 교수, 서울대 김홍희 교수, 서울대 이현숙 교수, 서울대 이미옥 교수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국내 여성과학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