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21 21:36 (월)
1분기 원외처방시장 '리피토' 선두 등극
상태바
1분기 원외처방시장 '리피토' 선두 등극
  • 의약뉴스 김창원 기자
  • 승인 2016.05.16 0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년 대비 14.5% 증가...비리어드, 바라크루드 제쳐

지난 1분기 원외처방 시장에서 화이자의 이상지질혈증치료제 리피토가 1위에 올라섰다.

유비스트 데이터 기준 리피토의 1분기 처방액은 379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 331억 원 대비 14.5% 증가했다.

지난해까지 BMS의 B형간염치료제 바라크루드에 밀려 2위 자리에 머물렀지만, 지난해 10월 바라크루드의 특허 만료와 함께 약가가 인하되면서 1위에 올라선 것이다.

길리어드의 B형간염치료제 비리어드 역시 전년 동기 283억 원 대비 24.2% 증가한 352억 원의 실적을 거둬 바라크루드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반면 바라크루드는 약가인하 여파로 지난해 1분기 455억 원에서 올해는 41.1% 감소한 268억 원의 실적을 올리는 데 그쳤다.

 

이와 함께 상위 10위 안에 이름을 올린 품목을 살펴보면 베링거인겔하임의 고혈압복합제인 트윈스타가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한 234억 원의 실적을 올렸으며, 아스트라제네카의 고지혈증치료제 크레스토는 18.2% 줄어든 187억 원의 실적을 올렸다.

또한 한독의 항혈전제 플라빅스는 13.5% 증가한 172억 원, MSD의 당뇨병치료제 자누메트는 2.2% 증가한 165억 원, 한미약품의 고혈압복합제 아모잘탄은 2.9% 감소한 165억 원, MSD 고지혈증복합제 바이토린은 10.1% 감소한 163억 원, 노바티스의 고혈압복합제 엑스포지는 5.5% 증가한 161억 원으로 조사됐다.

30위권 내에 이름을 올린 품목들을 살펴보면 플라빅스의 제네릭인 삼진제약 플래리스가 전년 대비 15.5% 증가한 150억 원의 실적을 올려 14위에 올랐으며 화이자의 소염진통제 쎄레브렉스는 특허 만료 여파로 40.0% 감소한 106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보령제약의 카나브와 노바티스의 가브스메트는 각각 19.7%, 19.5%씩 고성장해 99억 원씩의 실적으로 26위와 27위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이밖에 지난해 출시된 BMS의 C형간염 치료제 다클린자는 96억 원, 순베프라는 27억 원의 실적을 올려 BMS는 '닥순요법' 처방으로 123억 원의 실적을 올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