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약사회 한 관계자는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굳이 민감한 현안을 지금 시작할 이유가 없다" 고 말했다. 사실상 카운터 척결이 물건너 갔음을 시사한 대목이다.
이 관계자는 " 공청회 등 세심한 준비를 시작했으나 ( 압력에 의해) 최근 중단됐다" 며 " 앞으로 시일을 두고 더 연구해 봐야 한다" 고 말했다. 그는 " (복지부 식약청) 관에 있는 사람들과 개별적으로 많은 접촉을 했는데 그쪽 의견이 묵시적으로 인정돼고 있는데 굳이 벌집을 쑤실 필요가 있느냐는 답변을 들었다"고 말해 관의 반대 때문에 중지 됐을 수도 있다는 뉘앙스를 풍겼다.
약사회 핵심 인사인 이 관계자의 말을 종합해 보면 약사회가 일단 약국보조원제 도입을 전제로 카운터 척결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으나 최근 이 문제에서 완전히 손을 떼기로 했다.
이와관련 약사회무에 정통한 한 인사는 " 전문대에 약국경영학과 등을 두고 이 과를 졸업한 학생에게 일정한 시험을 거쳐 종업원 자격증을 주는 제도를 약사회가 거부하는 이유를 알지 못하겠다" 며 "언제까지 약국이 범죄의 소굴로 남아 있어야 하느냐"고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하지만 다른 관계자는 " 관에서 단속만 하지 않으면 지금 제도가 가장 이상적" 이라며 "단속을 하지 않는 쪽으로 약사회무가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종업원은 또다른 이름의 카운터로 더 큰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며 반대했다.
이처럼 약사들의 입장은 종업원제를 두자는 의견과 종업원이 세를 합할 경우 약사에 위협적인 존재가 될 것이라는 두려움 등의 이유로 반대한다는 양갈래로 갈라져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의약뉴스 이병구 기자(bgusp@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