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5일부터 복지부와 건보공단이 시행한 금연치료 건강보험 지원 사업에 대한 약국가의 불만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10일 개국가에 따르면 금연치료 건강보험 지원 사업이 업무 부담만 늘리고 있는 상황이다.
우선 시행 초기부터 금연치료제·보조제를 조제·판매하는데 있어서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걸린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공단홈페이지를 이용함에 따라 익숙하지 않은데다가 기존의 청구에 비해서 너무 오래 걸려 화자의 불만이 높다는 것이다.
일선 A약사는 “실제로 금연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청구를 진행할 경우 시간이 오래 걸려 환자들의 불만을 들을 수 밖에 없다”며 “실제 청구는 하지 못한 채 미리 계산해서 금액을 받은 후 나중에 청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일부 지역약사회에서는 는 엑셀로 계산표를 만들어 배포했으며 금연사업에 참여하는 약국가에서는 대부분 계산표를 상황하는 상황이라는 것.
또한 금연치료사업에 참여하는 약국에 지급되는 관리료 2000원에 대한 불만도 함께 높아 지고 있다.
여기에 이를 보상하기 위해 약국별로 의약품 판매 단가를 책정하도록 돼 있어 약국가의 가격차이가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일선 B약사는 “책정된 금액은 하루 조제료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라며 “사실상 의약품 단가로 이를 보상받으라는 것인데 이 때문에 약국간의 마찰이 생길 수도 있다”고 우려를 나타났다.
또다른 C약사 역시 “금연치료제를 판매하는 약국마다 가격이 틀린상태”라며 “시행 초기라 환자들이 약가의 차이에 대한 지적이 없지만 시간이 지남면 약국간의 가격 차이에 대한 불만이 생길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기존의 해왔던 금연사업과 중첩되는 부분도 있다는 지적도 함께 이어지고 있다.
서울 지역 D구약사회장은 “그간 세이프약국에서 상담 후 일부 금연 패치 등을 무료로 제공했고 보건소 역시 무료로 금연사업을 진행해 왔다”며 “이번 금연치료 사업이 그간 해왔던 세이프약국에 금연사업과 보건소 등의 사업과 중첩된다”고 지적했다.
D회장은 “이미 금연치료 사업에 참여해왔던 약국이 또 다른 금연사업을 시작하고 있는 셈”라며 “금연사업을 시행하더라도 정부나 지자체에서 하나로 통일해서 시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