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국산신약 한계...First-in-Class로 가야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김동연 신임 이사장(일양약품 사장, 사진)이 글로벌 신약 개발을 위해 가교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 이사장은 14일 신약개발조합 회의실에서 개최된 기자간담회에서 “(신약개발) 전문가들의 미팅을 자주 열고 부족한 부분이나 정책적인 부분을 지원하는 중계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학이나 벤처, 기업과 정부 등의 관련 기관 사이에서 중계자의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이와 함께 김 이사장은 진정한 글로벌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CEO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19호 신약까지 오면서 성공한 제품도 있지만, 대부분 베스트인 클래스에 치중하거나 외국에서 드롭된 약들을 가져와서 개발했다”며 “이런 약으로는 글로벌 진출이 어렵다”고 꼬집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EO들은 단기적 성과에 급급해 퍼스트인 클래스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며 “이제는 앞서 실패한 경험이나 정부정책기조 등에 따라 변하지 퍼스트 인 클래스로 관심을 돌리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이제는 그간의 경험으로 신약개발에 걸리는 시간도 짧아져 글로벌 신약이 분명히 나올 것”이라며 “빠른 시간 안에 한국에서 세계적인 신약이 나오도록 정책을 펼쳐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