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간호조무사 뿔났다 왜?
상태바
간호조무사 뿔났다 왜?
  • 의약뉴스 정세진 기자
  • 승인 2011.04.06 00:00
  • 댓글 1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의료기사법 시행...치위생사와 또다른 분쟁예고
치위생사의 업무영역을 보다 명확히 하는 취지의 의료기사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이 시행을 목전에 두고 있다.

그런데 이번 개정안에 대해 뜻하지 않게 “생존권 위협”이라며 반발하고 나선 이들이 바로 대한간호조무사협회이다.

대한간호조무사협회는 의료기사법 개정안 통과를 앞둔 4일 보도자료를 내고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 간호조무사협회가 이처럼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이유는 자신들의 업무 영역이 축소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서이다.

개정된 법안에는 치과의사가 지시한 업무를 치위생사나 간호조무사가 수행했을 때 그 행위가 ‘진료’의 영역으로 간주되어 행정처분을 받는 경우를 완화하는 내용이 들어 있다. 즉 치과의사 혼자서 치과 내의 모든 업무를 할 수 없는 현실을 인정하고 치위생사나 간호조무사가 일을 나눠 하는 데 있어 좀 더 융통성 있는 규정을 두자는 것이다.

그런데 이 업무 분담의 대상이 치위생사로 한정돼 있다는 것이 간호조무사협회가 법 개정에 반발하는 이유다. 이렇게 되면 치과의사는 행정처분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업무를 간호조무사가 아닌 주로 치위생사에게만 맡길 것이고 치과 내에서 간호조무사가 할 수 있는 일이 줄어들게 된다는 것.

대한간호조무사협회의 한 관계자는 “현재 치과병원에서는 치위생사 인력이 모자라 간호조무사만 두고 진료를 하는 경우도 흔하다”며 “정부에서는 치과병원 인력난을 해소한다는 이유로 치과 전문 간호조무사를 대폭 늘린다고 하는데 정작 간호조무사들이 할 수 있는 일을 축소시키면 배출된 인력들은 어디로 가야 하느냐”고 지적했다.

한편 대한치과위생사협회는 이번 개정안에 대해 “간호조무사협회가 전혀 관여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하고 있다.

치과위생사협회의 주장에 따르면 행정처분에 처해지는 업무들이 대부분 ‘진료’에 국한된 것이어서 해당 업무가 허가되지 않는 간호조무사가 구제책을 논의한다는 게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또한 치과위생사협회측은 간호조무사협회가 법의 취지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치위생사에 대해서도 잘못된 의료행위를 눈감아 준다는 게 아니라 치위생사가 관여해야 할 업무의 영역을 보다 명확히 하자는 것”임을 강조했다.

개정법에서 제시한 ▲구강진료에 필요한 준비 업무 및 인상채득(구강모형 본뜨기) ▲잉여시멘제거(잉여접착제 제거) ▲와이어결찰(교정용 철사고정)은 어디까지나 자격증을 가진 치위생사만이 할 수 있고 간호조무사는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진료 보조 업무를 맡으면 된다는 게 치과위생사협회측의 주장이다.

논란이 되는 부분은 ‘진료보조업무’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에 대한 것인데 이에 대해 치과위행사협회는 인상채득, 잉여접착제 제거 등을 ‘치위생업무’로 수정하자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치과위생사협회는 간호조무사협회가 “간호조무사들의 생존권 위협”이라고 표현한 부분에 대해서도 “지나친 과장”이라고 일축했다. 간호조무사들 중 치과 병원에서 근무하는 이들의 비율은 불과 4%밖에 되지 않는데 마치 간호조무사들 전체의 입지가 흔들리는 것처럼 상황을 호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사안은 예전부터 논란이 되어왔던 간호조무사의 업무 규정의 모호함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비슷한 분쟁이 벌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간호조무사가 맡는 ‘진료보조’의 영역이 어디까지인지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가이드라인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치위생학과재학생 2011-04-15 08:44:01
치위생학과를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저희는 3,4년동안 치위생사가 되기위해 여러가지 전공들의 공부와 실습을 합니다.
그리고 국가고시도 치뤄야하죠. 치위생사가 되기위해 무난한 노력을 합니다.
그에 반해 간호조무사는 단기간에 이뤄낼수있습니다.
그리고 전문가와 비전문가입니다.
제가 환자라면 치아에 대해 구강에 대해 전문적으로 공부한 치위생사에게
진료를 받기 원할거같습니다.

예비치위생사 2011-04-13 23:09:47
우리 예비 치위생사들은 치위생사가 되기위해 3-4년간을 치과위생학에 대한 공부를 전문적으로 하고, 그에 대한 국가고시를 보고 나서 의료기사 자격이 주어집니다.
그런데 반해 간호조무사들은 전문적 지식이 부족합니다. 치과진료는 일종의 서비스입니다. 서비스는 최상의 질로서 보답해야 하는 것이므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치위생사들이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당.

치위생학과학생 2011-04-13 22:38:37
4년제대학교 치위생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미래 치과위생사를 꿈꾸는 사람으로서 간호조무사가 치과위생사의 범위까지 침범하는 것은 분쟁할만한 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시간만채우면 졸업하는 간호학원졸업생과 전문대학,4년제대학교 치위생학을 전공으로한 졸업생이 같은 일을 할 수 있습니까. 저희는 국가고시를 통해 치과위생사면허증도 따야 하는데요. 치위생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한 사람을 놔두고 간호조무사를 고용해서 쓴다는 것도 환자분들에게 좋은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병원이라는 곳은 신뢰를 바탕으로 가야하고 치료받아야 하는곳인데 말이죠. 간호조무사는 정말 간단한 일만 하면 되는겁니다. 치과위생사의 업무확대가 결코 간호조무사의 영역을 침범하는것이 아니라는 말이죠.

치위생학과학생 2011-04-13 21:36:33
저희는 치위생사가 되기 위해서 치아 하나하나 공부하고 그외에 생물학, 생리학, 재료학 등등 여러 과목들을 4년에 걸쳐서 배운 뒤 국가고시를 통해 어렵게 면허증을 취득하는데에 비해, 간호조무사들은 조무사학원에서 몇개월정도 공부한 뒤 자격증을 취득해 취업을 위한 단기의 노력이 들어갑니다. 공부한 시간은 물론 노력, 전문지식 등의 관점에서 볼 때 환자의 입장이나 그 외 여러 입장에서 보면 당연히 전문적 기술이나 지식이 있는 사람을 원하지 관련이 적은 사람의 치료는 내켜할 것이라고 생각되지는 않네요. 제가 환자라고 한다해도 전문적으로 배운 사람이 아니라면 상대를 믿고 치료를 별로 받고 싶은 마음이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런 병원에는 가고 싶지도 않고요. 이런 이치는 당연한 것인데 이런 것으로 논쟁을 해야한다는 것 자체도 이해하기가 힘드네요.

위생사 2011-04-09 17:41:52
지금 재학중인 치위생사입니다.
저희는 3-4년동안 학교를 다니면서 자격증을 따기위해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그런데 취업을하기위해서 만들어진 간호조무사가 생겼습니다. 하지만 공부를 하더라도 그렇게 의료나 의학공부에 깊이 들어가지않고 정식으로자격증이 없이 배우는 학생입니다. 치위생사와 같은 동급을 원하시는것 같은데.. 그렇게 할수는 없을것입니다. 벌써 월급차이에서도 비교가 되고 아는것도 더 많고, 아무리 조무사가 잘해봤자 자격증없으면 땡 아닌가요?.. 학교에 등록금을 들여가면서 배우는 이유가 뭡니까?.. 그럼 힘들게 뭣하러 자격증딸려고 열심히 공부하고,실습하고. 하는게 더 좋은 일자리 찾을려고 그러는건데..
아무리 치과에 치위생사나 간호조무사가 같이 일을 하더라도 일하는 영역부터가 다릅니다. 그런데 간호조무사는 도데체 어떻게 뭘.얼마나 어떤 대우를 받고싶습니까? 좋은 대우를 받을려면 먼저 자격증부터 따러 학교부터 다니시는게 낳을듯 싶습니다. 제생각에는 보건계열에 일을 하고싶으시면 꼭 그과를 나와야 시험볼 자격이 주어집니다. 간호조무사가 일자리가 없어진다면 얼른 학교다시시면 되지 않겠습니까? 공부하고싶다는데 은행에서도 요즘 세상이 좋아져서 대출도 된다는데.. 열심히 해서 취업하면서 돈을 갚아가세요..그게 최선인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