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계학술 대회 2천명 참석 대성황
내시경 전문의 자격증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당사자인 위장내시경학회는 28일 기자회견을 갖고 언제나 소화기내시경학회 측과 모든 사안을 협의할 수 있고 문호는 항상 개방되어 있다고 밝혔다.이근식 위장내시경학회 회장을 비롯한 학회 이사진들은 이 날 추계학술대회 행사준비 과정에서 소화기내시경학회의 수많은 견제에 힘든 일을 겪었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현재 내시경 전문의 자격은 대학 교수 중심의 소화기내시경학회와 개원의 중심의 위장내시경학회 두 곳에서 발급되는 것으로 양분돼 있다.
위장내시경학회 이근식 회장은 별도로 학회를 개설한 것에 대해 그동안 소화기내시경학회가 개원의들에게 필요한 실질적인 증례나 기술적인 면보다는 특이사례 등 학술적인 내용을 교육함으로써 개원의들이 얻을 만한 내용이 없었다고 밝혔다.
또한 전문의 자격도 개원의들이 도저히 취득할 수 없는 조건을 걸어 그동안 수 차례에 거쳐 시정을 요구했음에도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위장내시경학회 설립 전부터 현재까지 두 단체의 갈등은 첨예하게 대립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위장내시경학회 간부들은 이 날 열린 추계학술대회 과정에서 소화기내시경학회 측에서 제약사에 압력을 넣어 부스 설치를 못하도록 막고, 과거에도 비방하는 내용의 서한을 돌리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소화기내시경학회 측과 화해를 모색하기 위해 이번 학술대회에 연자를 추천해 달라고 공문을 발송했으나 즉시 거절하는 답변을 보내왔다고 밝혔다.
위장내시경학회는 그러나 소화기내시경학회 측과 어떤 형태로든지 의견을 교환하고 장차 하나의 내시경전문의 자격증을 발부하기 위한 협의를 할 수 있도록 문호가 개방돼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장동익 상임고문(내개협 회장)은 "기술력이 부족한 젊은 개원의 들에게 실질적인 교육을 하겠다고 하자 복지부 고위 관리들도 대단히 환영하고 있다"며 "실질위주의 교육으로 진료의 질을 높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장내시경학회 관계자는 "사실상 내시경은 기기가 비싼 반면 그다지 남는 것은 없으나 중질환을 발견한다는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며 "중질환이 발견되면 의원급에서는 사실상 치료가 어려워 대학병원으로 트랜스퍼 하는데 교수들이 반대하는 것이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이 날 인터콘티넨탈에서 개최된 위장내시경학회 추계학술대회는 사전등록 인원만 1천명에 이르는 등 2천명의 의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중외제약, 중외메디칼, 한독, 대웅, 일양, 애보트, 이브메디칼 등이 후원했다. 32개의 협찬 부스는 설치할 자리가 부족해 별도의 공간을 만들기도 했다.
행사 관계자는 "총 1억4천만원 이라는 학회 행사로는 유례가 없는 비용과 인원이 참여한 대규모 행사"라며 "내년 춘계 학술대회가 끝나면 위장내시경학회의 첫 내시경전문의 자격이 발급된다"고 밝혔다.
내시경 전문의 자격이 성황을 이루는 것에 대해 한 참가자는 "개원가에는 내시경 전문의 자격을 갖지 않은 의사의 진료에 대해서 내년에 정부가 수가 차원의 불이익을 줄 것이라는 풍문이 떠돌고 있다"고 말했다.
의약뉴스 이창민 기자(mpman@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