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7 16:28 (목)
21. 신경섬유종증
상태바
21. 신경섬유종증
  • 의약뉴스 이병구 기자
  • 승인 2007.05.08 00:0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병명이 같은 희귀질환이라고 하더라도 타입에 따라 질환의 경과와 진행속도 그리고 나타나는 양상은 다를 수 있다.

신경섬유종증도 5타입까지 있는데(일부는 7타입 까지 나누기도 한다.) 그중 2 타입이 가장 심각한 증세를 보인다.

그리고 진행형이기 때문에 말 그대로 현대의학으로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몰리게 된다.

다행히 다른 유형의 환자는 같은 신경섬유종증 이라고 하더라도 예방적 치료만 제대로 하면 큰 문제없이 정상생활를 해 나갈 수가 있다.

호민기(34ㆍ가명)씨는 타입 1 환자다. 그래서 2형에 비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양호하다고 하더라도 무려 4-5차례의 대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다. 호씨는 초등학교 2학년 때 증세가 나타났다.

등쪽에 주로 좁쌀만한 뽀드락지가 생겼다.  뽀드락지는 점점 커지고 반점도 생겨났다. 급한 마음에 동네병원을 찾았으나 의사는 더 큰 병원으로 가보라고 소견서를 써 줬다.

그는 세브란스 병원에서 신경섬유종증이라는 희귀질환 판정을 받았다. 당시는 성형외과에서 진단했는데 등과 귀쪽에 난 혹을 제거하는 수술도 받았다. ( 지금은 피부과 정기양 교수를 주로 찾고 있다. 소아과 이진성 교수는 이 분야 전문의다.)

당시 의사는 이 병이 진행형인지 멈출 수 있는 병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며 2년에 한 번 정도 정기검사를 받을 것을 권했다. 다행이 더이상 진행하지 않는다는 판단을 받았다.

하지만 혹은 다리에도 생겨났다.  등에도 생겼다. 호씨는 27살까지 무려 4번이 대수술을 했다. 그는 지금 정상생활을 하고 있다. 병이 더이상 진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 사춘기 때는 병도 신체와 함께 자란다고 합니다. 그러나 성장이 멈추자 병도 진행을 멈췄습니다."

그는 개인사업을 하는데 정상인과 똑같은 생활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반바지를 입거나 대중 목욕탕에 가는 것을 꺼린다. 수술로 인한 상처 자국과 현재도 있는 혹을 감추기 위해서이다.

" 일반인들은 신경섬유종증 환자인지 잘 모릅니다. 그러나 환자들이 보면 쉽게 알 수 있어요. 대인기피증이 있기도 하거든요."

현재 이 질환의 환자 모임에는 300명 정도가 참석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전국적으로 1만 5,000명이상의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호씨는 "연예인이나 정치인 등 유명인사들도 환자가 있는데 이름 밝히기를 꺼려 할 만큼 내놓고 자랑할 수 있는 병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 희귀질환으로 등록돼 있어도 모든 타입에서 보험혜택을 받을 수 없는 것은 아쉽다" 고 강조했다.

실제로 환자로 진단받기 위해 하는 MRI 검사나 유전자 검사 혹은 약물 검사에는 보험혜택을 받을 수 없다.

발병 원인은 유전적 요인이 50%, 돌연변이가 50%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신이사 2007-05-18 00:15:22
신경섬유종에대한 정보가 너무나 엉터리 입니다 과연 의사선생님들 만나보고 이사 썼는지 의심스럽기 짝이 없습니다 신경섬유종은 일반적으로 2가지형태로 나누지만 학자에따라서 5가지유형으로 크게분류는 7가지유형으로 나누지만 요즘은 3가지형태로 분류하는게 ,추세 입니다
1형 2형 3형(1형과 2형의 혼합형) 4형 점은없으며 단순이 신경섬유종이란 종양이 몇개있는사람 큰문제 없음 5형 점만있는 환자 크게보면1형에 속한다 볼수 있음
신경섬유종서 가장 위험한건 1형이 아니라 2형 입니다 1형은 밀크색반점과 종양으로 외관상 문제는 되지만 전혀 생명에 지장이 없습니다 그러나 2형은 매우 심각합니다 청신경에 종양발생으로 대부분 청력을 상실하고 뇌종양으로 반신불수가 되기도하고 사망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세브란스병원의 경우 신경섬유종의 관리는 피부과 정기양 선생님이 안 합니다 관리는 임상유전과 이진성교수님이 하시고 수술의 경우 피부아래 심부의 종양은 신경외과서하며 피부에 난 간단한 종양이나 피부바로 아래의 종양은 피부과 정기양 선생님이 수술 하심니다
인터넷에서 신경섬유종 모임 여러개 있지만 오픈라인서 활동하는 단체는
신경섬유종을 이기는 사람들이 유일하며 회원수는 100명정도이며 신경섬유종은 2500-3000명당1명꼴로 발새하므로 우리나라의 환자수는 1000명이 아닌 15000-20000여명으로 추산 됨니다 흑시 이글보는 신경섬유종환우들은 잘못된 정보이니 자세이 알고 싶다면 대학병원 임상유전과 전문의 또는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 바랍니다
1형이 가장 무섭다는거와 우리나라 환자수가 1000명이란건 정말 말도 안됨니다 그리고 연예인중 신경섬유종있다는건 정말개가 웃습니다 연예인은 노출을 많이 합니다 연예인중 팔이나 목부위에 밀크커피색 반점 있는분 보셨는지요 그리고 아무리 경한 환자도 소량의 종양 팔 다리에 있습니다 누구나 손쉽게 발견 할수 있습니다 아마 질리언앤더슨 이야기를 잘못쓴거 아닌가 싶습니ㅣ다 질리언 앤더슨 동생이 신경섬유종 환자이고 그러다보니 질리언 앤더슨은 신경섬유종 단체 홍보대사로서 봉사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홈피 참조(http://www.gilliananderson.ws/main.shtml)신경섬유종 환자들이 20000명임에 불구하고 환우회 가입한 분100명인 이유는 그많큼 자기 노출을 싫어하기 때문이며 이이야기는 맞는 이야기 입니다 기자분들 기사는 정확해야 합니다
아울러 신경섬유종은 진행형 멈춤형이란 말도 금시 초문 입니다 물론 성장후에는 더이상 발생 안합니다 신경섬유종이 심하게 발생하는 시기는 13-18세 청소년기 입니다 그리고 40-50세경 갱년기때 즉 말하자면 이때는 종양의 발생속도 심합니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는 임신시 종양의 발생이 심합니다
신경섬유종 2타입이상 보험핵 없다는 것도 사실과 틀림니다
물론 MRI등 일부검사 비보험은 의보 안됨니다 이건 다른 질환도 마찬 가지일거고 요즘은 성형외과서 신경섬유종 제거수술해도 신경섬유종 종양이라면 의료보험 됨니다
단 보통 사마귀종양은 미용으로 의보가 안되지만 성형외과선 의보 안되었지만 요즘은 됩니다 왜 이런거 확인하나 재대로 안하고 기사 쓰는지 2형의 경우는 매우 위험하기에 의보 안되면 말이 안되죠 심지어 2형의 경우 인공와우수술 까지 의보되며 저소득 환우는 아예 국고서 의료비가 지원되는데 너무나 잘못된기사 어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