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이재명 정부의 첫 교육부 장관과 보건복지부 장관 인선이 지연되면서 의대 교육 정상화의 마지노선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23일, 11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발표했지만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 법무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 일부 부처의 장관 후보자는 발표에서 제외됐다.

아직 이번 발표에 포함되지 않은 부처의 장관 후보자 지명 시점이 불투명한 가운데, 후보자로 거론되는 인물도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회 관계자 A씨는 “국회 내에서도 주요 부처의 차기 장관으로 누가 선정될지 모른다는 분위기”라며 “교육부와 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선정될 가능성이 큰 인사가 누구인지도 명확하지 않다”고 전했다.
이어 “보통 장관 후보자 지명 전에 대통령실에서 인사 검증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하마평이 돌지만, 최근에는 그런 소식도 거의 들리지 않는다”며 “국무총리 후보자 청문회가 끝났으니, 총리가 임명된 뒤에 장관 후보자 발표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는 예측만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건의료계에서는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신임 장관 인선을 서둘러야 한다고 재촉하고 있다.
의대 증원을 추진했던 교육부와 복지부 장관을 교체해야만 정국 전환이 가능하다는 목소리다.
보건의료계 관계자 B씨는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서는 남은 시간이 얼마 없다”며 “학교를 떠난 학생들을 복귀시켜 교육을 재개하려면 여름 전에 국면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서는 의대생들과 대립했던 이전 정부의 장관이 아닌 새 정부의 장관이 필요하다”며 “새 정부가 빨리 신임 교육부와 복지부 장관 후보자를 발표하고 임명 절차를 밟아야 의대 교육 붕괴를 막을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신임 장관으로는 실무에 능한 인사가 임명돼야 한다는 조언도 이어졌다. 현장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소통할 수 있는 인사가 의료 대란을 풀 수 있다는 것.
보건의료계 관계자 C씨는 “지난 정부의 인사들은 결론을 정해두고 대화에 나섰다”면서 “소통으로 해결할 수 있었던 시점에도 이러한 태도가 걸림돌이 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새 정부는 결론을 미리 정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인사를 장관으로 임명하길 바란다”며 “그래야만 의료 대란을 풀고, 다른 보건의료 현안도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