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12:54 (수)
SGLT-2 억제제 적혈구증가증 ↑, 색전증엔 영향 무
상태바
SGLT-2 억제제 적혈구증가증 ↑, 색전증엔 영향 무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5.06.25 12: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DPP-4 억제제ㆍGLP-1 RA 보다 적혈구 증가...색전 사건 위험에는 차이 없어

[의약뉴스] SGLT-2 억제제를 투약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DPP-4 억제제나 GLP-1 RA 제제를 투약한 환자들에 비해 적혈구증가증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지만, 색전증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23일, 미국의사협회지 JAMA NetworkOpen에는 2015년 1월 1일부터 2024년 6월 30일 사이에 SGLT-2 억제제나 DPP-4 억제제, GLP-1 RA를 처음 처방받은 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 약 27만 명을 대상으로 적혈구증가증 및 그에 따른 주요 심혈관계 사건 발생 위험을 평가한 이스라엘의 후향적 코호트 분석 결과가 게재됐다.

▲ SGLT-2 억제제를 투약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DPP-4 억제제나 GLP-1 RA 제제를 투약한 환자들에 비해 적혈구증가증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지만, 색전증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 SGLT-2 억제제를 투약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DPP-4 억제제나 GLP-1 RA 제제를 투약한 환자들에 비해 적혈구증가증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지만, 색전증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연구진은 각 그룹의 성향점수에 균형을 맞춰 SGLT-2 억제제 투약군과 DPP-4 억제제 투약군 6만 8776쌍, SGLT-2 억제제 투약군과 GLP-1 RA 투약군 6만 5756쌍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DPP-4 억제제 투약군과 SGLT-2 억제제 투약군간 비교에서 적혈구증가증(2005년 영국 혈액학회 기준) 유병률은 DPP-4 억제제군이 기저 시점 5.6%에서 1년 후 3.5%로 2.1% 감소한 반면, SGLT-2 억제제 투약군은 6.7%에서 12.1%로 약 5.5% 증가했다.

GLP-1 RA 투약군과 SGLT-2 억젲 투투약군간 비교에서도 GLP-1 RA 투약군의 적혈구증가증 유병률은 기저 시점 6.3%에서 1년 후 5.1%로 감소했으나, SGLT-2 억제제 투약군은 6.1%에서 11.9%로 5.8% 증가했다.

2016년 세계보건기구 기준 적혈구증가율 유병률은 DPP-4 억제제와 SGLT-2 억제제 비교군 중 DPP-4 억제제 투약군이 1.4%에서 0.9%로 0.5% 감소한 반면, SGLT-2 억제제 투약군은 1.8%에서 4.3%로 약 2.6% 증가했다.

GLP-1 RA와 SGLT-2 억제제 비교군에서도 GLP-1 RA 투약군은 1.7%에서 1.5%로 소폭 감소한 반면, SGLT-2 억제제 투약군은 1.6%에서 4.3%로 증가했다.

헤모글로빈 농도 또한 SGLT-2 억제제와 DPP-4 억제제 비교군 중 SGLT-2 억제제 투약군은 13.37g/dL에서 13.72g/dL로 0.5g/dL 증가했으나, DPP-4 억제제 투약군은 13.28g/dL에서 13.09g/dL로 0.19g/dL 감소했다.

SGLT-2 억제제와 GLP-1 RA 비교에서도 SGLT-2 억제제 투약군은 13.36g/dL에서 13.73g/dL로 0.37g/dL 증가한 반면, GLP-1 RA 투약군은 13.38g/dL에서 13.37g/dL로 소폭 감소했다.

또한 SGLT-2 억제제 투약군은 헤마토크릿도 증가, DPP-4 억제제 비교군 중 SGLT-2 억제제 투약군은 41.07%에서 42.49%로 1.42%, GLP-1 RA 비교군 중 SGLT-2 억제제 투약군은 41.02%에서 42.52%로 1.50% 증가했다.

이 같은 양상은 남성(OR=1.42, 95% CI 3.80-4.48)과 흡연(OR=2.00, 95% CI 1.85-2.16)에서, SGLT-2 억제제별로는 다파글리플로진(제품명 포시가, 아스트라제네카)에 비해 자디앙(성분명 엠파글리플로진, 베링거인겔하임ㆍ릴리)에서 조금 더 두드러졌다.

다만, 적혈구증가증 발생 여부는 심근경색(HR=0.92, 95% CI 0.58-1.44), 정맥혈전색전증(HR=1.56, 95% CI 0.68-3.60), 뇌졸중(HR=1.26, 95% CI 0.84-1.90) 등의 발생과 큰 연관이 없는 것으로 보고됐다.

이와 관련 연구진은, SGLT-2 억제제가 DPP-4 억제제나 GLP-1 RA에 비해 적혈구 증가의 위험이 더 높긴 하지만, 혈전성 사건과는 무관했다면서, 이는 SGLT-2 억제제의 안전성에 대한 중요한 확신을 제공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