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12:54 (수)
티쎈트릭+카보메텍스,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ARPI 대안 가능성 시사
상태바
티쎈트릭+카보메텍스,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ARPI 대안 가능성 시사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5.06.16 22: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ONTACT-02 3상 최종 분석 Lancet Oncology 게재...전체생존율엔 차이 없어

[의약뉴스] 로슈의 항PD-L1 면역항암제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과 입센의 VEGFR-TKI 카보메틱스(성분명 카보잔티닙)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에서 또 하나의 선택지를 마련했다.

최근 The Lancet Oncology에는 이전에 안드로겐 수용체 신호전달경로 차단제(ARPI) 치료 중 질병이 진행, 골반 외 연조직 전이가 있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티쎈트릭과 카보메틱스 병용요법을 ARPI 재치료(다른 APRPI로 변경)와 비교한 다국가 3상 임상 COMTACT-02 연구의 최종 분석 결과가 게재됐다.

▲ 로슈의 항PD-L1 면역항암제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과 입센의 VEGFR-TKI 카보메틱스(성분명 카보잔티닙)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에서 또 하나의 선택지를 마련했다.
▲ 로슈의 항PD-L1 면역항암제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과 입센의 VEGFR-TKI 카보메틱스(성분명 카보잔티닙)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에서 또 하나의 선택지를 마련했다.

이 연구에서는 총 575명의 환자를 티쎈트릭과 카보메틱스 병용요법군과 ARPI 재치료군에 1대 1로 무작위배정, 이중 1차 평가변수로 무진행생존율(Progression-Free Survival, PFS)과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 OS)을 비교했다.

이 가운데 지난해 미국임상종학회 비뇨생식기암 심포지엄(ASCO GU 2024)에서는 중앙 추적관찰 11.8개월 시점에 집계한 무진행생존율이 보고됐다.

당시 티쎈트릭과 카보메틱스 병용요법군의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6.3개월로 ARPI 재치료군은 4.2개월과 비교해 질병 진행 또는 사망의 위험이 35% 더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HR=0.65, 95% CI 0.50-0.84, P=0.0007)

이와 관련, 연구진은 “CONTACT-02는 면역항암제 관련 연구 중 내장 전이가 있는 전립선암 환자에서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율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임상적으로도 의미 있게 개선한 유일한 3상 임상”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한 미국임상종양학회측은 “티쎈트릭과 카보메틱스 조합이 내장 전이와 같은 공격적인 특징을 가진 환자들처럼 가장 치료하기 어려운 환자에서 활성화됐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CONTACT-02의 초기 결과가 흥미롭다”고 평가했다.

이어 최근 The Lancet Oncology에 게재된 최종 분석은 중앙 추적관찰 23.1개월 시점의 분석 결과로,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티쎈트릭과 카보메틱스 병용요법군이 14.8개월, ARPI 재치료군은 15.0개월로 두 그룹간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던 것으로 보고됐다.(HR=0.80, 95% CI 0.72-1.10, P=0.30)

이와 관련, 연구진은 “티쎈트릭과 카보메틱스 병용요법이 안드로겐 수용체 신호전달 경로를 표적하지 않는 새로운 약물 조합으로서, ARPI 치료에도 진행한, 연조직 전이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에게 유용한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