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의과대학 교수들이 정부가 더 늦기 전에 유연 학기제 도입을 주문, 귀추가 주목된다.
1학기 종강을 앞둔 의과대학들은 지난 5월까지 복귀하지 않은 의대생들에 대한 유급 및 제적 처분을 준비하고 있다.
학교마다 행정 절차가 달라 유급 및 제적 확정 시점은 명확하지 않지만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의대생에 대한 대규모 행정 처분은 불가피한 상황으로 알려졌다.

의대 교수 A씨는 ”수업 미참여 학생들에 대한 행정 처분 변동은 어려울 것 같다“며 ”대학들이 지난 5월에 정리한 대로 학칙을 적용하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학교마다 학기 말 혹은 학년 말에 유급과 제적을 통보하기 때문에 당장 학생들이 학적을 잃거나 불이익을 보는 일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의대 교육 일정에 차질이 생긴 것은 변함없다“고 전했다.
이에 의대 교수들은 정부가 지금이라도 유연 학기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방학 없이 수업을 진행하면 수업에 불참한 학생들도 학년에 맞는 의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만큼,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의견이다.
다만 유연 학기제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대학이 학칙을 개정해야 하는 만큼, 정부가 개입해 학사 운영 일정 조정을 독려해야 한다고 주문이다.
의대 교수 B씨는 ”지금이라도 유연 학기제를 도입하거나, 저녁 수업까지 진행하는 등의 조치를 하면 의대 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다“며 ”정부가 의대 교육을 포기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다만 ”일부 의대 교수들이 학사 일정을 조정하자는 의견을 내고 있지만, 대학들이 움직이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부가 개입해야 대학들이 움직일 수 있고, 그래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유연 학기제 도입이나 학사 일정 조정 등의 결단도 효과를 낼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빠른 결단이 필요한 시기“라고 역설했다.
반대로 시기를 놓쳐 의대 교육 정상화에 실패하면 의사 수급이 불안정해져 의료체계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도 나왔다
의대마다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 수가 달라, 배출되는 의사 수를 예측하기 어려워지면 전공의 수련 체계와 공중보건의, 군의관 등 여러 의료 제도에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의대 교수 A씨는 ”이대로 의대 교육 정상화에 실패하면 의사 배출이 불규칙해져 어떤 해에는 300명의 의사가 나오고, 다른 해에는 4000명이 나올 수도 있다“며 ”이러면 의료 체계가 불안정해진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의사가 필요해도 구하지 못하는 시기가 발생할 수 있고, 어떤 때는 의사가 과잉 배출돼 사회적 문제가 될 수도 있다“며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