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60세 이상 고령자에 허가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예방백신 아렉스비(GSK)와 애브리스보(화이자)의 효능이 약 75%로 평가됐다.
최근 미국의사협회지 JAMA NetworkOpen에는 미국 내 약 2억 7000만 명의 전자의무기록을 토대로 실제 임상 현장에서 RSV 예방백신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연구 결과가 게재됐다.
연구진은 2023~2024 RSV 유행 시즌에 급성호흡기감염이 발생, RSV 검사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RSV 예방백신의 효능을, 전체 RSV 예방백신 접종자를 대상으로는 안전성을 평가했다.
효능은 RSV 양성으로 판정받은 환자와 음성으로 판정받은 환자 각각에서 RSV 접종률을 분석, 두 그룹간의 오즈비(Odds Ratio, OR)를 통해 계산했다.(100-OR*100. %)

분석 결과, RSV 양성인 급성호흡기감염 환자 가운데 이전에 RSV 예방접종을 받은 환자는 2.4%에 불과했던 반면, 음성인 환자에서는 9.1%로 세 배 이상 높았다.
RSV 예방백신을 접종한 경우 RSV 관련 급성호흡기감염증이 발생할 위험이 더 적었다는 의미로, 백신의 효능은 75.1%(95% CI 73.6%-76.4%)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75세 미만에서 75.2%(95% CI 73.0%-77.2%), 75세 이상에서는 75.6%(95% CI 73.7%-77.3%)로 큰 차이가 없었다.
RSV로 인한 응급실 방문을 예방하는 백신의 효능도 60세 이상에서 75.8%(95% CI 73.2%-78.1%)으로 이 가운데 745세 미만은 76.9%(95% CI 72.9%-80.3%), 75세 이상은 76.2%(95% CI 72.9%-79.2%)로 집계됐다.
RSV로 인한 입원을 예방하는 백신의 효능도 60세 이상에서 75.5%(95% CI 73.1%-77.6%), 이 가운데 75세 미만에서는 75.2%(95% CI 71.0%-78.8%), 75세 이상에서는 76.1%(95% CI 73.2%-78.7%)로 보고됐다.
면역 저하 환자에서 RSV로 인한 급성호흡기감염 예방 효능은 60세 이상에서 70.4%(95% CI 67.8%-72.7%)로, 특히 75세 이상(73.1%, 95% CI 69.8%-76.0%)에서 75세 미만(67.0%, 95% CI 62.6%-70.9%)보다 효능이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 저하 환자에서 RSV로 인한 입원에 대한 효능도 60세 이상에서 69.5%(95% CI 65.3%-73.1%)로, 이 가운데 75세 이상(72.4%, 95% CI 67.4%-76.6%)로 75세 미만(65.2%, 95% CI 57.3%-71.5%)보다 효능이 더 컸다.
다만, 면역저하자에서 RSV로 인한 응급실 방문에 대한 백신의 효능은 75세 미만(73.3%, 95% CI 65.7%-79.3%)과 75세 이상(75.0%, 95% CI 69.1%-79.8%)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장기나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서는 상대적으로 백신의 효능이 낮았던 가운데, 연령에 따른 백신의 효능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형 장기 이식 환자에서 RSV로 인한 급성호흡기 감염증 예방 효능은 60세 이상에서 73.4%(95% CI 61.9%-81.4%)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75세 이상에서는 90.8%(95% CI 71.0%-97.1%)에 달했던 반면, 75세 미만에서는 66.9%(95% CI 54.6%-78.4%)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는 60세 이상에서 백신 효능이 33.4%(95% CI 12.3%-49.4%)에 그쳤으며, 이 가운데 75세 미만은 29.4%(95% CI 3.5%-48.4%)에 불과했고, 75세 이상은 44.4%(95% CI 1.0-68.8%)로 상대적으로 더 높았지만, 50%에는 미치지 못했다.
장기이식 환자에서 RSV로 인한 응급실 방문과 입원 예방 효능은 55~60%로 연령별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안전성 평가에서는 RSV 예방백신에서 우려되는 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TP)의 위험은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됐다.
이 가운데 길랑바레 증후군은 100만회 접종 당 아렉스비에서 5.2건, 애브리스보는 18.2건으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