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교육부가 의대생 유급 및 제적 가능성을 공식화하자 의협이 전 회원 총력 대응을 천명하고 나섰다.
의대생의 유급 및 제적은 절차적 정당성조차 갖추지 못했다는 주장으로, 현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의대 증원을 넘어선 근본적인 보건의료정책 개선을 선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회장은 10일 의협회관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보건의료분야 정책제안 보고회에서, 전날(9일) 교육부의 의대생 유급ㆍ제적 대상자 발표를 정면으로 겨냥하며 이같이 밝혔다.
김 회장은 “정부가 의대생에 대한 제적 압박 카드를 무리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절차적인 정당성조차 갖추지 못한 처사”라며 “뉴스 속보를 보면서 지난 14개월간 우리가 이런 정권과 싸우고 있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된다”고 유감을 표했다.
이어 “협회는 단 한 명의 (의대생) 제적 사태라도 발생한다면, 전 회원의 총의를 모아서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초강경 대응 방침을 분명히 했다.
의ㆍ정 갈등이 1년 넘게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제21대 대선을 맞이하는 엄중한 시기임을 강조한 김 회장은 “이제는 의대생과 전공의들의 단순 복귀를 넘어, 왜 이들이 대학과 병원을 떠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져야 할 때”라고 역설했다.
이어 “일방적으로 진행된 의대 정원 증원 문제에 국한하지 말고, 수십 년간 누적된 대한민국 보건의료 정책의 문제와 한계를 해결해야 한다”며 “그러지 않으면 이번 (의ㆍ정 갈등) 사태 해결은 요원하다”고 지적, 문제의 본질을 직시할 것을 정부와 정치권에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