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12:54 (수)
[EASL 2025] 티쎈트릭+아바스틴, 글로벌 실사용 데이터 보고
상태바
[EASL 2025] 티쎈트릭+아바스틴, 글로벌 실사용 데이터 보고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5.05.10 0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ㆍ유럽ㆍ아시아 989명 분석...24개월 전체생존율 26.1%

[의약뉴스]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에서 1차 치료로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과 아바스틴(성분명 베바시주맙, 이상 로슈) 병용요법을 투약한 환자들을 장기간 추적 관찰한 글로벌 실사용 데이터(Real-World Date, RWD)가 보고됐다.

8일, 유럽간학회 연례학술회의(EASL 2025)에서는 미국과 유럽, 아시아에서 총 23개 기관이 참여해 진행성 간세포암 1차 치료에서 티쎈트릭과 아바스틴 병용요법을 시행한 환자들을 전향적으로 관찰한 AB-real 코호트 분석 결과가 발표됐다.

▲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에서 1차 치료로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과 아바스틴(성분명 베바시주맙, 이상 로슈) 병용요법을 투약한 환자들을 장기간 추적 관찰한 글로벌 실사용 데이터(Real-World Date, RWD)가 보고됐다.
▲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에서 1차 치료로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과 아바스틴(성분명 베바시주맙, 이상 로슈) 병용요법을 투약한 환자들을 장기간 추적 관찰한 글로벌 실사용 데이터(Real-World Date, RWD)가 보고됐다.

 

연구에는 Child-Pugh A 등급 환자와 전신수행능력 평가점수(ECOG PS) 0~2 등급의 환자들을 포함 989명을 분석했다.

이 가운데 77.9%의 환자가 BLCL 3기, 대혈관 침범이 있는 환자는 24.6%, 간외 전이는 51.0%를 차지했으며, 간암 발생 원인은 B형 간염이 20.1%, C형 간염이 47.5% 등 주로 바이러스성 간염이 원인이었다. 

이번 분석에서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22.8개월로, 989명 가운데 407명에서 질병이 진행됐고, 540명은 사망했다.

전체생존기간(Overall Surviva, OS) 중앙값은 18.5개월(95% CI 14.9~18.8),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 중앙값은 7.9개월(95% CI 6.9-8.9)로, 24, 36개월 전체생존율은 26.1%와 9.6%로 집계됐다.

또한, 전체반응률(Overall Response Rate, ORR)은 5.6%의 완전반응(Complete Response, CR)을 포함, 29.0%로 보고됐다.

한편, 방사선학적 반응(radiologic response)을 달성한 환자의 24, 36개월 전체생존율이 53.6%와 30.5%로 질병 조절을 달성한 환자의 34.2%와 14.2%를 상회했다.

또한 6개월 시점에 방사선학적 반응을 보인 환자들은 안정병변(Stable Diasease, SD)에 그친 환자들(HR=0.40, 95% CI 0.23-0.68)이나 질병 진행(Progressive Disease, PD) 환자(HR=0.22, 95% CI 0.19-0.42)에 비해 장기적 이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 연구진은 “티쎈트릭과 아바스틴 병용요법을 받은 절제 불가능한 간세포암 환자 중 4분의 1 이상이 2년 시점까지 생존해 있었다”고 요약했다.

아울러 “장기 생존 확률은 객관적반응 달성을 전제로 한다”면서 “또한 티쎈트릭과 아바스틴 병용요법의 예후를 구분하는 방법으로서, 방사선학적 재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