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교육부가 오늘(9일) 중으로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의대생 중 유급 또는 제적 대상자의 규모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어서 이목이 쏠리고 있다.
교육부는 7일까지 전국 의과대학에 의대생들의 수업 참여 현황과 유급ㆍ제적 등 행정 조치 대상자 수를 제출하도록 요청했으며, 8일 하루 동안 이 자료들을 취합ㆍ검토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8일, 실무자들이 대학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내부 회의를 진행했으며, 9일 발표를 위한 정리 작업을 마쳤다”고 밝혔다.
발표에서는 전체 유급ㆍ제적 대상 학생 수와 수업 참여율 등을 포함할 예정이며, 향후 대응 방향까지 공개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의대생의 약 70%가 수업에 불참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2026년에는 전체 정원의 3배 이상이 같은 학기 수업을 들어야 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단순한 수치 공개를 넘어, 수업 거부 학생들에 대한 행정 조치와 향후 교육 운영 방향도 함께 제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보건의료계 관계자 A씨는 “교육부가 수치만 발표하고 끝내지는 않을 것 같다”며 “학생 수 ‘더블링’에 이어 ‘트레블링’까지 걱정해야 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해법도 함께 제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의료계는 정부가 강경 대응으로 일관할 것이 아니라 유연한 자세로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계속되는 강경 기조가 학생들의 복귀를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 4월 말,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의대생들과 진행한 간담회처럼 소통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의료계 관계자 B씨는 “정부가 학사 유연화는 없다고 계속 못을 박고 있어 답답한 상황”이라며 “학생들과 정부가 입장을 좁혀가던 와중에 강경 조치가 나오면 오히려 사태가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유급이나 제적은 일반적으로 학기 종료 후 통보되는 사안인데, 지금처럼 미리 발표 예고를 하는 것은 너무 이른 조치”라며 “정부가 서두를 필요는 없지만, 최근 발언들은 다소 성급해 보인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이대로라면 정부와 학생 모두에게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서로 조금 더 차분하게 대화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의료계는 최근 대선 후보들이 잇달아 의대생들의 복귀를 당부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라 평가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7일 SNS를 통해 "정치가 답을 찾겠다"며 복귀를 호소했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도 8일 입장문을 통해 “윤석열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며 학생들의 복귀를 요청했다.
B씨는 “정계의 유력 인사들이 말이 아닌 글로 정책 철회를 약속한 것은 의미가 크다”며 “대선 기간 중 나온 발언들은 정치적 무게가 있는 만큼,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학생들이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일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겠지만, 상황 해결에 긍정적인 신호임은 분명하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