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정부가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 인원을 3058명으로 결정했지만, 여전히 의대생들은 수업으로 돌아오지 않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17일, 대학 총장과 의대 학장들의 의견을 반영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으로 되돌렸다.
이후 정부는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를 독려했지만, 교육 현장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의대 교수 A씨는 “여전히 학생들이 수업에 거의 들어오지 않고 있다”며 “이대로 가면 학사 일정을 조정해도 제대로 된 교육이 어려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처럼 의대생들이 움직이지 않자, 교육부 이주호 장관은 어제(22일) 직접 의대생들과 만나 의견을 청취하기도 했다.

이 장관은 의대생들과 만나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의학교육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의대교육의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복지부와 협의해 의사 국가시험 일정, 전공의 모집일정과 전문의 자격시험 일정을 모두 유연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교육부가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를 위해 나섰지만, 현장의 반응은 싸늘했다.
의료계는 정부가 의대생들을 제대로 교육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지 못해 신뢰를 잃어버리고 있고, 언제라도 의대 정원을 다시 늘릴 수 있다는 태도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 장관이 지난 17일 브리핑에서 정부의 입장은 2000명 증원 유지라고 말한 부분이 잘못됐다는 비판이 나왔다.
의료계 관계자 B씨는 “그동안 정부는 학생들이 돌아오기만 하면 모든 준비가 된 상태이기 때문에 의대 교육을 제대로 할 수 있다고 주장했었다”며 “하지만 최근에는 계속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는 말만 하고 있다”고 힐난했다.
이어 “정부와 의대생들이 신뢰를 쌓으려면 과거와 달라졌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며 “하지만 의대 정원 동결을 발표하는 브리핑에서도 2000명 증원을 유지했지만, 현장 상황을 반영해 조정했다는 식으로 말해 실망스러웠다”는 것.
정부가 필수의료패키지 재점검과 같은 전향적인 메시지를 내지 않으면 의대생들의 현장 복귀는 어려울 수 있다는 예측도 나왔다.
B씨는 “정부가 바뀐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면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을 것 같다”며 “이제라도 교육부가 학생들과 대화하려 나서는 모습은 긍정적으로 보지만, 현장의 요구사항을 제대로 정책에 반영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변화가 시작될 수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