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대한응급의학회가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응급의료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호소했다.
조기 대선과 새 정부 구성 과정에서 응급의료에 대한 한시적 지원이 끊어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필수 의료인 응급의료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줄여서는 안 된다는 호소다.

대한응급의학회는 17일과 18일 양일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2025년도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응급의학의 학풍은 계속 된다'를 주제로 개최한 이번 학술대회에는 의료현장의 어려움 속에서도 응급의학과 전문의, 전공의, 간호사, 응급구조사 등 총 1116명이 참여했으며, 60개 기업이 전시 부스를 마련해 활기를 더했다.
학술대회 기간 동안에는 소생학, 심혈관 응급, 소화기계 응급, 기도 관리, 임상중독학, 응급중환자 영상, 소아응급, 산부인과 응급, 재난, 응급의료체계, 창상 관리 등 응급의학 분야의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심도 깊은 연수 강좌를 진행했다.
특히 응급실 사망진단서 작성과 법적 책임, 응급의료에서 인공지능 문제와 윤리적 접근, 완화의료 윤리와 연명의료법 등 필수 평점 강의에 관심이 집중됐다는 전언이다.
학술대회를 기념해 마련한 기자간담회에서 학회 김인병 이사장(명지병원장)은 “여전히 어려운 응급의료 현실 속에서도 많은 응급의료 인력들이 학술대회를 통해 학문적 교류를 나눈 뜻깊은 자리였다”며 “현재 한국 의료의 혼란과 위기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올바른 방향으로 조속히 해결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아울러 학회는 최근 조기 대선과 새 정부 구성 과정에서 응급의료 분야에 대한 지원이 축소될 수 있다면서, 응급의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학회는 성명서를 통해 “2024년 2월부터 지속되고 있는 응급의료 인력 부족 속에서도 많은 응급의료 종사자들의 노력으로 간신히 응급의료체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국민들께서 응급의료 이용에 불편을 겪고 계신 것을 잘 알고 있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최일선인 응급의료 분야에 대한 효과가 검증된 한시적 수가 정책들은 반드시 상시화 및 제도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학회는 ▲응급진료전문의 진찰료 수가 인상 및 야간ㆍ공휴 가산 30% 동일 적용, 인상분의 50% 이상 진료 전문의 직접 지원 ▲응급의료기관 평가 지원금의 응급의료 장비 구매 허용 등 응급의료 인력과 기관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진료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응급의료 인프라 확대 ▲응급의료 분야의 형사 처벌 면제 및 민사 손해 배상 최고액 제한과 같은 법적ㆍ제도적 개선 등을 새 정부와 국회에 요청했다.
이어 “응급의학과 전문의, 전공의들이 마음 놓고 최선을 다해 응급의료에 헌신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