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12:12 (수)
광동제약, 뉴질랜드 대사관 방문해 산업 협력 방안 모색 外
상태바
광동제약, 뉴질랜드 대사관 방문해 산업 협력 방안 모색 外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5.04.10 19: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동제약, 뉴질랜드 대사관 방문해 산업 협력 방안 모색

▲ 광동제약은 산업 협력 강화를 위해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 광동제약은 산업 협력 강화를 위해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광동제약(대표이사 회장 최성원)이 산업 협력 강화를 위해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을 방문했다고 10일 밝혔다.

광동제약 박일범 천연물융합연구개발본부장은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을 방문해 주한 뉴질랜드 던 베넷(Dawn Bennet) 대사, 리차드 던시스(Richard Dunsheath) 무역산업진흥청 대표와 만남의 시간을 가졌다.

사측에 따르면, 이 자리는 ‘녹용’을 매개로 성사됐으며, 광동제약 참석자들은 청정자연 속 체계적인 원료 관리 시스템과 동물복지 인프라를 갖춘 뉴질랜드의 녹용에 대한 신뢰감을 드러내며, 한방의약품의 주원료로 오랜 기간 녹용을 연구한 기업으로서 인연을 강조했다.

광동제약은 2023년 전립선건강(녹용당귀등 복합추출물)과 피로개선(참당귀녹용황기 복합추출물)을 타깃으로 개별인정형(비임상, 인체적용시험) 원료를 개발했으며, 앞으로 이를 활용해 다양한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광동제약 박일범 천연물융합연구개발본부장은 “광동제약은 ‘한방의 과학화’라는 창업정신을바탕으로 천연물 소재의 발굴과 육성을 핵심 역량으로 삼고 있다”면서 “국내 최초로 녹용을 활용한 개별인정형 원료 개발을 계기로 관련 산업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 무역산업진흥청 대표 리차드 던시스 상무참사관은 자국 사슴협회(DINZ, Deer Industry New Zealand)의 확인서를 인용, 협회를 통해 원료를 공급받는 글로벌 국가 중 한국(광동제약)이 유일하게 녹용을 기능성 원료로 개발한 것에 대해 감사의 뜻을 전했다.

아울러 광동제약이 자국의 녹용을 활용해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개별인정형 원료 인증을 획득한 것도 격려했다.

던 베넷 주한 뉴질랜드 대사는 “지난한 연구개발 과정에도 포기하지 않고 결과를 만들어낸 광동제약에 축하의 말을 전한다”며 “뉴질랜드 녹용을 사용한 제품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길 바란다”고 밝혔다.

 

◇대원제약, 온라인 종합 학술 심포지엄 ‘D-Talks AGORA WEEK’ 개최

▲ 대원제약이 오는 14일부터 18일까지 5일간 전국의 보건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온라인 종합 학술 심포지엄 ‘D-Talks AGORA WEEK’를 개최한다
▲ 대원제약이 오는 14일부터 18일까지 5일간 전국의 보건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온라인 종합 학술 심포지엄 ‘D-Talks AGORA WEEK’를 개최한다

대원제약(대표 백승열)이 오는 14일부터 18일까지 5일간 전국의 보건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온라인 종합 학술 심포지엄 ‘D-Talks AGORA WEEK’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디톡스(D-Talks)‘는 2022년 개설된 대원제약의 의료 정보 교류 플랫폼이다. ‘건강한 디지털 습관 D-Talks‘라는 슬로건으로 연간 200회 이상의 온라인 심포지엄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상ㆍ하반기 두 차례 열리는 AGORA WEEK는 개원가 의료진의 진료에 도움이 되는 질환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며, 각 분야의 전문가와 실시간 질의응답도 가능한 종합 학술대회 형식의 행사다.

이번 상반기 AGORA WEEK는 ‘선생님들의 질문에 전문가가 답하다‘라는 슬로건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가 질문에 대해 직접 답변하는 특별 Q&A 세션을 모든 강의에서 진행한다.

첫날인 14일 강의는 성균관의대 소화기내과 이준행 교수가 맡았다. 이 교수는 ‘Drug-induced Gastropathy: 이럴 땐, 이렇게!‘라는 연제로 약물 위장병과 그 대처법을 알아 보는 강의를 진행한다.

16일에는 ‘임상현장에서의 항혈전제 사용법‘과 ‘Your First Choice for Dyslipidemia Treatment_TAVALOZET‘을 주제로 항혈전제와 이상지질혈증 치료에 관한 임상 중심의 강의를 진행한다.

이 세션은 중앙의대 순환기내과 원호연 교수가 좌장으로, 연세의대 심장내과 조성수 교수와 중앙의대 순환기내과 조준환 교수가 연자로 참석한다.

17일에는 ‘Preventive role of Symbicort reducing SABA overuse risk‘라는 제목으로, 천식 진단과 치료에 있어 자주 듣는 질문들을 다룬다.

이 세션은 건국의대 호흡기알레르기내과 문지용 교수가 좌장을 맡고, 연자로는 한양의대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이현 교수가 참석한다.

마지막 날인 18일에는 건국의대 정형외과 김태훈 교수와 강민석 교수가 ‘척추를 지켜라! 골관절염과 골다공증 치료 속으로‘를 주제로 강의를 진행, 골관절염과 골다공증 치료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AGORA WEEK의 모든 강의는 점심 시간을 이용해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오후 1시에 시작하며, 대원제약 디톡스 회원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저명한 연자들의 실제 임상 사례와 진료 팁 등 도움이 되는 강의를 비롯해 라이브 방송, Q&A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한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약 9300명의 보건의료전문가가 시청한 작년 AGORA WEEK에 이어 올해는 임상, 보험심사평가, 치료법 등을 주제로 한 수준 높은 강의를 준비했다“며 “환자 진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디톡스의 다양한 콘텐츠에 많은 관심 바란다“고 전했다.

 

◇한독, 세계 파킨슨병의 날 맞아 사내 캠페인 전개

▲ 한독은 ‘세계 파킨슨병의 날(World Parkinson's Day)’을 맞아 임직원을 대상으로 '파킨슨병 치매 바로 알기 캠페인’를 진행했다.
▲ 한독은 ‘세계 파킨슨병의 날(World Parkinson's Day)’을 맞아 임직원을 대상으로 '파킨슨병 치매 바로 알기 캠페인’를 진행했다.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이 4월 11일 ‘세계 파킨슨병의 날(World Parkinson's Day)’을 맞아 9일 서울 역삼동에 위치한 한독 본사 20층 카페테리아에서 임직원을 대상으로 '파킨슨병 치매 바로 알기 캠페인’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파킨슨병 치매 바로 알기 캠페인’은 파킨슨병에 비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파킨슨병 치매를 알리기 위해 마련했다.

한독 임직원들은 파킨슨병 치매에 대해 재미있게 배워볼 수 있는 OX 퀴즈에 참여하고 파킨슨병 치매의 주요 증상과 예방을 위한 생활 속 실천 팁을 배워보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또한, 캠페인에서는 부모님의 건강을 챙길 수 있도록 파킨슨병을 상징하는 튤립 모양 쿠키와 파킨슨병 치매 건강상태 설문지를 나눠줬다.

파킨슨병 치매는 파킨슨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치매로 2020년부터 유병율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0년 파킨슨병 환자 중 남성 11.4%(5267명), 여성 15.2%(9900명)이 동반 질환으로 치매를 진단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킨슨병 유병 기간이 길어지면 치매의 위험도 증가한다. 파킨슨병 발병 후 10년 경과 시 약 50%의 환자에서 치매가 발생하며, 20년 경과 시 그 비율이 8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파킨슨병 치매는 대표적인 치매 질환인 알츠하이머병과 달리 실행기능, 시공간 기능, 주의력 및 기억력의 현저한 결손을 특징으로 하며, 무관심, 환시, 망상과 같은 행동 증상도 자주 나타난다.

한독 김미연 사장은 "잘 알려져 있는 파킨슨병과 달리 파킨슨병 치매는 생소하기 때문에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파킨슨병 치매는 빨리 발견해서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한 만큼, 질환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많은 분들이 적시에 치료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한독은 파킨슨병 치매 치료를 위해 엑셀론(성분명: 리바스티그민)을 국내에 공급해오고 있다.

엑셀론은 1일 1회 피부에 붙이는 경피흡수제형과 1일 2회 투여하는 경구 형태 두 가지가 있다.

엑셀론 패취는 중증 알츠하이머형 치매 및 경도 내지 중등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또는 파킨슨병과 관련된 치매의 대증적 치료에 허가를 받았으며, 엑셀론 캡슐은 경증-중등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및 파킨슨병 관련 치매 증상의 치료에 허가를 받았다. 또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해오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