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07:45 (수)
키트루다, 투명세포 부인암 2차 이상 치료에서 가능성 제시
상태바
키트루다, 투명세포 부인암 2차 이상 치료에서 가능성 제시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5.02.08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PEACOCC 임상 2상 공개...전체생존기간 14.8개월

[의약뉴스] 항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MSD)가 전신 치료 이력이 있는 진행성 투명세포 부인암 환자에서 새로운 치료법으로서 가능성을 제시했다.

6일, 미국의사협회지 JAMA Oncology에는 영국 5개 기관에서 진행한 PEACOCC 임상 2상 결과가 게재됐다.

이 연구는 이전에 항PD-1 면역항암제 치료 이력이 없고, 한 차례 이상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진행성 투명세포 부인암 환자를 모집, 단일군으로 키트루다 단독요법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했다.

▲ 항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MSD)가 전신 치료 이력이 있는 진행성 투명세포 부인암 환자에서 새로운 치료법으로서 가능성을 제시했다.
▲ 항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MSD)가 전신 치료 이력이 있는 진행성 투명세포 부인암 환자에서 새로운 치료법으로서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에는 총 48명이 참여했으며, 이 가운데 한 명을 제외한 47명은 불일치 복구 결함이 없었다.(MisMatch Repair–proficient, pMMR)

연령 중앙값은 58.5세로, 26명(54%)가 전신수행능력 평가점수(ECOG PS) 0, 22명(46%)은 1이었다.

암종별로는 난소암이 41명(85%)로 가장 많았고, 자궁내막암이 6명(13%), 자궁경부암이 1명(2%)이었다.

전신치료이력 중앙값은 3회였으며, 혈관신생 억제제 치료 이력이 있는 환자가 19명(40%)를 차지했고, 백금에 노출되지 않은 기간이 12개월 이상인 환자도 19명(40%) 포함됐다.

안전성에 있어서는 9명(19%)의 환자에서 치료와 관련한 3등급 이상반응이 보고됐으나, 4~5등급은 없었다.

연구의 1차 평가변수인 12주 무진행생존율(Progression-Free Survival, PFS)은 42%(95% CI 28-57)로 집계됐다.

최고 객관적 반응률(best Objective Response Rate, bORR)은 12명의 부분 반응(Partial Response, PR)을 포함, 25%(95% CI 14-40)로 집계됐다.

중앙 추적관찰 46.9개월 시점에 집계한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2.7개월(95% CI 1.3-5.4)에 불과했으나, 전체생존기간(Overall Survival, OS) 중앙값은 14.8개월(95% CI 6.7-28.2)로 1년을 상회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키트루다가 전신 치료 이력이 있는 진행성 투명세포 부인암 환자에서 임상적 이점을 보여주었다면서, 이러한 환자에서 키트루다 단독요법의 추가 평가를 지지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