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비대면 진료 플랫폼부터 정부 부처까지 다양한 곳에서 의약품 배송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나서자 대한약사회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쓴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정부 부처에서는 의약품 배송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복지부는 올해 업무 계획을 발표하면서 비대면 진료 법제화를 완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에 산업계와 소비자 단체들을 중심으로 비대면 진료 법안에 의약품 배송을 허용하는 조항을 넣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비대면 진료 플랫폼들의 모임인 원격의료산업협의회는 국회 좌담회를 열고 비대면 진료 법제화를 요구, 의약품 배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원산협은 의약품 배송을 위해 자체적으로 항온ㆍ항습 포장 방안 개발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여기에 국토교통부 또한 드론 상용화 지원사업을 실시해 지자체 계획에 따라 드론을 통한 의료용품 배송을 허용하겠다고 발표, 눈길을 끌고 있다.
약국이 부족해 의약품 접근성이 떨어지는 도서ㆍ산간지역의 지자체들이 강력하게 의약품 드론 배송을 요구하고 있어, 이를 허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이처럼 의약품 배송이 정부의 주요 이슈로 떠오르자 약사들 사이에서 대한약사회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과거에는 산업계와 소비자 단체가 환자의 편의성 등을 강조하며 의약품 배송을 요구했지만, 최근에는 정부에서 나서 의약품 배송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고 있기 때문.
이에 약사회가 정부에 대면 투약의 원칙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다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약사 A씨는 “환자의 안전, 의약품 오남용 방지 등을 생각하면 대면 투약 원칙을 지켜야 한다”며 “하지만 이 논리가 무약촌 문제, 도서ㆍ산간 지역의 의약품 접근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약사회는 약 배송을 막을 대안을 제시하겠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안은 나오지 않았다”면서 “약 배송이 허용되지 않은 현 상태만을 강조하며 잘 막아내고 있다는 말만 했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원칙을 강조하며 반대의견만 내면, 대외적인 설득력이 떨어진다”면서 “공공심야약국 활성화 방안이나, 약사의 사회적 역할 강화 방안을 미리 만들어 약사사회만의 대안이 있다는 점을 알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3월에 새롭게 출범하는 권영희 집행부가 최대한 빨리 현실성 있는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약사 B씨는 “새 집행부 출범을 앞두고 현안이 많지만, 약국 환경을 바꿀 수 있는 의약품 배송에 대한 대안을 최대한 빨리 만들어야 한다”며 “투쟁과 현안 해결을 강조했던 권 당선인이 집행부를 꾸리고 해법을 제시하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