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를 발표한지 이달로 꼭 일년이 지났다.
그동안 많은 일들이 일어났다. 의료현장의 대혼란은 물론 응급환자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위중한 상황에 이르기도 했다. 특히 계엄 포고령에 복귀하지 않는 전공의 처단이라는 문구가 삽입돼 의료계가 분노하기도 했다.
의대 증원 2천명 발표 이후 1년이 지난 지금 의료계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의료현장을 떠났던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복귀가 여전히 미흡하다. 전공의들은 병원에 돌아오지 않고 의대생들은 올해도 동맹휴학을 예고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가 손을 놓고 있었던 건 아니다. 이리저리 뛰고 이런저런 제안을 내놨지만 백약이 무효했을 뿐이다. 대통령 탄핵 이후 정부는 교육부 이주호 장관과 보건복지부 조규홍 장관이 직접 나서 전공의와 의대생들에게 사과하기도 했다.
또 내년도 의대 입시 정원을 제로베이스에서 논의하겠다는 전향적 발표를 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결과는 영 신통치 않다. 지난 1월 19일까지 전국 수련병원에서 시행한 레지던트 모집 결과가 이를 증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원자는 고작 199명에 불과했고 오늘(3일)부터 시작되는 인턴 모집 역시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들 것이 예상되고 있다.
의-정이 하루 빨리 머리를 맞대고 사태를 해결해야 하는 부담이 새해 들어 여전한 것이다. 의료계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정부의 사과와 대책이 미흡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모호한 말 대신 명확한 약속을 내놔야 한다는 것.
이런 상황을 지켜보는 국민의 마음은 착잡하기만 하다. 환자들은 특히 더 그렇다. 제대로 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얼마나 더 지속될지 암담한 현실을 지켜보는 마음이 심각하다.
서로 한 발 물러서서 최선이 아니면 차선이라도 택해 합의점을 마련해 보기를 바란다. 이것이 진정한 환자를 위한 첫 걸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