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7 07:57 (목)
노보노디스크 오젬픽, 1형 당뇨병환자 AID와 시너지
상태바
노보노디스크 오젬픽, 1형 당뇨병환자 AID와 시너지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5.01.14 12: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위약 대조 크로스오버 연구...목표 범위 내 시간 ↑ㆍ체중 ↓

[의약뉴스] 노보노디스크의 장기지속형 GLP-1 RA 오젬픽(성분명 세마글루티드)가 자동 인슐린 주입장치(Automated Insulin Delivery, AID)를 사용하고 있는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 조절률을 더 높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Nature Medicine에 게재됐다.

▲ 노보노디스크의 장기지속형 GLP-1 RA 오젬픽(성분명 세마글루티드)가 자동 인슐린 주입장치(Automated Insulin Delivery, AID)를 사용하고 있는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 조절률을 더 높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 노보노디스크의 장기지속형 GLP-1 RA 오젬픽(성분명 세마글루티드)가 자동 인슐린 주입장치(Automated Insulin Delivery, AID)를 사용하고 있는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 조절률을 더 높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오젬픽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강력한 혈당조절 및 체중 감량 효과로 주목을 받고 있지만, 1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임상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 가운데 연속혈당측정기(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와 결합된 AID는 혈당변동성이 큰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 가장 진보된 치료법으로 곱히고 있지만, 여전히 목표 혈당에 도달하지 못하는 환자가 많아 미충족 수요가 존재한다.

이에 AID 사용 환자에서 오젬픽이 혈당 조절에 추가적인 이득을 제공할 수 있을지 확인하고자 이 연구를 진행했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에는 총 28명의 환자를 모집, 오젬픽군과 위약군에 1대 1로 무작위 배정해 11주간 적정한 후 4주간 AID를 사용했으며, 두 그룹의 약제를 바꿔 다시 11주간 적정한 후 4주간 AID를 사용하도록 했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의 당뇨병 유병기간은 평균 13년, 당화혈색소(HbA1c)는 평균 7.4%로, 당화혈색소가 7.0% 미만으로 조절되는 환자는 29%에 그쳐 실제 임상현장을 반영했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 결과 혈당 3.8~10.0mmol 기준 목표 범위 내 시간(Time In Range, TIR)은 오젬픽 투약시 74.2%로 위약 투약시의 69.4%를 상회했다.

혈당 3.9~7.8mmol 기준 목표 범위 내 시간 역시 오젬픽 투약시 49.6%로 위약 투약시 46.0%를 상회했다.

이 가운데 3.9mmol 미만에 있는 시간은 두 시점에 각각 1.2%와 1.1%, 3.0mmol 미만은 두 시점 모두 0.3%로 차이가 없었다.

7.8mmol 이상도 10.9%와 11.0%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10.0mmol 이상은 10.1%와 10.6%로 차이가 벌어졌으며, 13.9mmol 이상은 5.4%와 8.3%로 큰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오젬픽이 저혈당보다 고혈당을 낮춰 목표 범위 내 시간의 차이를 만들어 냈다는 평가다.

평균 혈당은 오젬픽 투약시 8.4mmol로 위약 투약시 8.8mmol보다 낮았고, 3.9~10.0mmol 기준 목표 범위 내 시간이 70% 이상이었던 환자의 비율은 오젬 투약시 13명(54%)으로 위약 투약시 10명(42%)를 상회했다.

뿐만 아니라 1일 총 인슐린 투여량도 오젬픽 투약시 46.1 유닛으로 위약 투약시 62.1 유닛보다 11.3 유닛 더 적었다.

기저시점 대비 인슐린 용량도 오젬픽 투약시 14.6% 감소한 반면, 위약 투약시에는 7.7% 증가해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이외에도 기저시점에 평균 91.3kg이었던 체중은 오젬픽 퉁갸시 84.3kg, 위약 투약시에는 89.7kg 으로 감소 오젬픽 투약시점에 5.3kg 더 감소했다.

체질량지수(BMI)로는 기저시점 32.3kg/m2에서 오젬픽 투약시 29.8kg/m2으로, 위약 투약시에는 31.9kg/m2으로 감소, 오젬픽 투약시점에 감소폭이 더 컸다.

당화혈색소는 기저시점 7.5%에서 오젬픽 투약시 6.8%, 위약 투약시에는 7.1%로 감소했고, 기저시점에 5명에 불과했던 7% 미만 환자는 오젬픽 투약시시 17명, 위약 투약시에는 10명으로 오젬픽 치료 기간에 더 많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