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정부와 여당이 갑작스럽게 오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한다고 발표했지만, 의약품 유통에는 큰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여당은 8일, 비상 경제 안정 고위 당정협의회에서 설 연휴 기간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오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설 연휴가 6일로 늘어나자 약국가에서는 의약품 배송 일정을 다시 확인하기 시작했다.
연휴가 길어지면 유통업체의 배송이 멈춰 약국 내 의약품 재고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약사 A씨는 “아직 유통업체나 제약사 쪽에서 전달된 내용이 없다”며 “갑자기 연휴가 길어져서 의료기관 진료 일정 등을 점검하고, 이에 맞춰 의약품 재고를 관리해야 해 고민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의약품 유통업체들은 연휴에도 차질 없이 의약품 배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계획을 정리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지난해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큰 차질 없이 배송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 전했다.
유통업체 관계자 B씨는 “정부가 갑자기 임시공휴일을 결정했지만, 의약품 배송 일정을 조정하지는 않을 예정”이라며 “최대한 차질 없이 약을 배송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작년에도 정부가 시간을 얼마 남겨두지 않고 국군의 날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했었기 때문에 비슷한 경험이 있다”며 “오히려 의약품 배송을 오래 쉬면 유통업체와 약국 모두 힘든 일이 벌어질 수 있어, 기존 일정을 유지할 것 같다”고 전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약국 정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전언이다.
약국에서는 보통 월말에 의약품 유통업체에 대금을 결제하기 때문에 임시공휴일로 연휴가 길어지면 관련 일정이 늦어질 수 있다는 것.
유통업체 관계자 C씨는 “갑자기 월말에 5일 가까운 연휴가 생겨서 의약품 대금 결제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을 것 같다”며 “연휴가 길면 카드사 정산도 늦어지고, 대금 결제 일정이 미뤄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약국 중에서는 연휴가 끝난 31일에 대금 정산을 마치지 못하는 곳도 나올 수 있다”며 “정부가 이런 부분까지 고려해서 임시공휴일 지정을 조금 더 빨리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