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7 06:02 (목)
아프레밀라스트 5개 품목 급여 등재, 포말리스트 44.6% 인하
상태바
아프레밀라스트 5개 품목 급여 등재, 포말리스트 44.6% 인하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4.12.25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대거 상한액 인하...모비졸로 등 16개 품목은 인상

[의약뉴스] 내달 1일, 아프레밀라스트 제제 5개 품목이 급여 목록에 등재된다. 

기존 등재 품목 중에서는 포말리스트(세엘진, 현 BMS) 등 23개 품목의 급여 상한액이 인하되며, 모비졸로(한국팜비오) 등 16개 품목의 상한액은 인상된다. 

보건복지부는 24일, 이와 같은 내용을 반영해 ‘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를 일부 개정ㆍ발령했다.(보건복지부 고시 제2024-244호)

▲ 보건복지부는 24일,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를 일부 개정ㆍ발령했다.(보건복지부 고시 제2024-244호)
▲ 보건복지부는 24일,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를 일부 개정ㆍ발령했다.(보건복지부 고시 제2024-244호)

고시에 따르면, 오테리아(동아에스티), 압솔라(대웅제약), 오테벨(종근당), 오테밀라(동구바이오제약), 소프레(한림제약) 등 아프레밀라스트 제제 5개 품목이 급여 목록에 신규 등재된다.

급여 상한액은 정당 5840원, 27정 팩 단위로는 팩당 14만 1328원으로 책정됐다.

기존 등재품목 중 포말리스트 1, 2, 3, 4밀리그램 4개 품목의 급여 상한액은 나란히 44.6% 인하된다.

또한 셀트리온의 베그젤마는 4ml가 6.3%, 16ml는 6.0% 인하되며, 사노피의 알프로릭스는 250IU, 500IU, 1KIU 2KIU, 3KIU 등 5개 품목의 상한액이 모두 6.2% 인하된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들의 상한액도 대거 인하된다. 애브비의 린버크서방정은 15밀리그램과 30밀리그램이 각각 5.5%, 5.6% 인하된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에피즈텍은 정맥주사(26ml)와 프리필드주(1ml, 0.5ml) 등 3개 품목의 상한액이 5.0%씩 인하된다.

릴리의 올루미언트는 2밀리그램과 4밀리그램이 2.2%씩 인하되며,얀센의 트렘피어 또한 프리필드시린지와 오토인젝터주 2개 품목의 상한액이 1.6%씩 인하된다.

이외에 노바티스의 심부전 치료제 엔트레스토 또한 50밀리그램과 100밀래그램, 200밀리그램 등 3개 품목의 상한액이 모두 5.0%씩 인하된다.

반면 모비졸로는 1밀리그램이 62.9%, 2밀리그램은 98.0% 인상되며, 명인제약의 명인탄산리튬정150mg은 48.7%, 대원제약의 스피락톤정50mg은 42.9% 인상된다.

또한 삼일제약의 알케란정과 삼아탄톰액의 상한액은 31.1%, 명인제약의 명인탄산리튬정 및 부광약품의 리단정의 상한액은 27.6%씩 인상된다.

여기에 더해 JW중외제약의 라보파가 23.4%, 한국아스트라제네카의 풀미코트레스퓰분무용현탁액이 22.7% 등 10개 품목의 상한액이 20% 이상 인상된다.

이외에도 GC녹십자의 녹십자헤파린나트륨주사액이 19.9%, 환인제약의 환인트라조돈염산염캡슐은 17.5%, 휴온스의 파인주사5,000IU/ml가 17.1%, 1,000IU/ml는 9.2%, 건일제약의 풀미칸분무용현탁액은 11.2%, 환인제약의 환인이미프라민염산염정25밀리그램이 2.4% 인상된다.

한편, 내달 1일과 9일 급여상한액이 인하될 예정이었던 동아에스티의 슈가트리서방정5/10/1000mg과 한미약품의 빌다글정50밀리그램, 경보제약의 빌다정50밀리그램 등은 기존 상한액이 유지된다.

이 가운데 빌다글정50밀리그램과 빌다정50밀리그램은 2026년 1월 9일, 슈가트리서방정5/10/1000mg은 2027년 1월 1일 예정했던 상한액으로 인하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