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7 12:32 (목)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대한민국신약개발상 공모 外
상태바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대한민국신약개발상 공모 外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4.11.27 18: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대한민국신약개발상 공모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 대한민국신약개발상 등 3개 부문에 대한 공모를 진행한다.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 대한민국신약개발상 등 3개 부문에 대한 공모를 진행한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은 11월 29일부터 2025년 1월 3일까지 ‘제26회 대한민국신약개발상(Korea New Drug Award, KNDA)’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대한민국신약개발상은 우리나라 바이오헬스산업의 발전과 신약연구개발의 의욕을 고취하고 고부가가치 신약개발기업과 신기술창출 및 기술수출기업의 업적을 영구히 기념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의 후원으로 1999년 제정했으며, 신약연구개발 및 글로벌 혁신성 강화를 통해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의 발전에 기여한 기업을 격려하기 위해 매년 포상을 시행해오고 있다.

신청자격은 세계 최초 신약(바이오신약, 천연물신약, 합성신약)을 창출한 국내기업(국내기업의 해외 현지법인 포함), 또는 특허기술을 실용화해 고부가가치 의약품을 창출하고 상당한 수출/수입대체 효과를 거둔 국내기업이다.

신청대상은 ①국내기업이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의약품으로 개발 완료해 국내 또는 국외의 허가당국으로부터 공모일 기준으로 최근 3년 이내에 품목허가를 취득한 신약(바이오신약, 천연물신약, 합성신약), ②국내기업이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제법특허, 조성물특허, 용도특허 등을 획득하고 의약품으로 개발 완료해 국내 또는 국외 허가당국으로부터 공모일 기준으로 최근 3년 이내에 품목허가를 취득한 의약품(완제품, 원료)으로서 부가가치성/신규성 등에서 우수한 신규의약품 ③국내기업이 자체 연구개발한 신약 관련 기술을 상당한 규모의 기술료를 받고 공모일 기준으로 최근 3년 이내에 해외에 기술수출한 경우다.

대한민국신약개발상은 신약개발부문(대상/우수상/기술상)과 기술수출부문(기술수출상) 등 2개 부문에 대해 공모 및 포상을 진행한다.

포상심사는 분야별 전문성과 객관성을 보유하고 있는 산ㆍ학ㆍ연ㆍ관 전문가로 구성된 대한민국신약개발상 시상심사위원회를 통해 신규성, 기술수준, 부가가치성, 기술/시장경쟁력, 국민보건향상 기여도 등을 바탕으로 3차에 걸쳐 실시한다.

선정기업에 대한 시상은 2025년 2월 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제39차 정기총회와 연계해 개최하는 ‘제26회 대한민국신약개발상(KNDA) 시상식’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2024년에는 △ 유한양행이 개발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정’, △ GC녹십자가 개발한 면역질환 치료제 ‘알리글로’가 대상을 수상, △ 한림제약이 개발한 유방병변 제거 수술 보조제 ‘루미노마크주’가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 종근당이 개발한 비히드록삼산 HDAC6 저해제 ‘CKD-510’, △ 지아이이노베이션이 개발한 알레르기 치료제 ‘GI-301’, △ 온코닉테라퓨틱스가 개발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스타프라잔’이 기술수출상을 받는 등 지난 1999년 제정 이후 현재까지 40개사 79개 제품/기술이 수상했다. 

한편 신청서 다운로드 등 기타 시상 관련 사항은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홈페이지(www.kdr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바이오헬스산업분야 유공자 포상 공모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11월 29일부터 2025년 1월 3일까지 ‘2025년도 바이오헬스산업분야 유공자 포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표창)’을 공모한다.

바이오헬스산업분야 유공자 포상은 혁신 신약개발 성공 및 글로벌 시장 진출 등 국내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이 큰 연구개발중심 기업의 연구자를 적극 발굴해 표창함으로써 이들의 사기를 진작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신약연구개발의 활성화 및 바이오헬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신약조합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승인을 얻어 2021년도에 제정한 상이다.

 신청자격은 신약조합 회원기업에 재직 중인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연구자로서 혁신신약(바이오신약, 천연물신약, 합성신약)‧신기술의약품 개발, 의약품 관련 고부가가치 신기술 개발 및 기존 기술의 국산화 등을 통해 바이오헬스산업의 육성과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해당분야에서 5년 이상 직접 참여해 현저한 공을 쌓은 자다.

포상심사는 대한민국신약개발상 시상심사위원회의 종합심의회 등 3단계를 거쳐 포상 대상자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추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추천심의와 공적심사 과정을 통해 표창 대상자를 확정할 계획이다.

표창장은 2025년 2월 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제39차 정기총회와 연계하여 개최하는 ‘제26회 대한민국신약개발상(KNDA) 시상식’에서 수여할 예정이다.

2024년에는 △ 유한양행 윤태진 상무(국내외 라이선스 아웃 및 신약개발 공동연구 진행,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개발 등 바이오헬스산업 발전 기여), △ GC녹십자 차경일 본부장(혈액제제 신약 ‘알리글로’ 안전성 향상 공정 개발 및 FDA 품목허가 기여)이 표창을 수상했으며, 지난 2021년 제정 이후 현재까지 총 5개 기업에서 7명이 수상했다.

한편 신청서 다운로드 등 기타 포상 공모 관련 사항은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홈페이지(www.kdr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제약산업 혁신성과 실용화연계 우수전문가 포상 공모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은 11월 29일부터 2025년 1월 3일까지 ‘2025년도 제약산업 혁신성과 실용화연계 우수전문가 포상(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표창)’을 공모한다.

제약산업 혁신성과 실용화연계 우수전문가 포상은 우리나라 연구개발중심 바이오헬스산업계의 신약, 개량신약 등 혁신성과의 실용화연계 등 시장가치 제고를 위해 기여한 공이 큰 기업의 전문가를 발굴하기 위해 신약조합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협조를 통해 2015년 제정한 상으로 제정 이후 매년 포상을 실시하고 있다.

신청자격은 신약조합 회원기업에 재직 중이며,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R&D전략기획, 글로벌마케팅, 사업개발, 인허가, 생산 등 5개 분야 전문가로서 신약(바이오신약, 천연물신약, 합성신약)·개량신약, 의약품 관련 고부가가치 신기술 등 혁신성과의 실용화연계 등 시장가치 제고를 위해 해당분야에서 3년 이상 직접 참여하여 현저한 공을 쌓은 자다.

포상심사는 대한민국신약개발상 시상심사위원회의 종합심의회 등 3단계를 거쳐 포상 대상자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추천하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공적심사 과정을 통해 표창 대상자를 확정할 계획이다.


표창장은 2025년 2월 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제39차 정기총회와 연계하여 개최하는 ‘제26회 대한민국신약개발상(KNDA) 시상식’에서 수여할 예정이다.

2024년에는 △ 대웅제약 이소윤 팀장(인허가), △ 메디팁 강명신 이사(인허가), △ 바이오메디앙 이헌수 대표이사(R&D전략기획), △브이에스팜텍 김병민 이사(R&D전략기획), △유한양행 오상호 상무(생산), △GC녹십자 강길부 부장(생산)이 표창을 받았으며, 지난 2015년 제정 이후 현재까지 44개 기업의 전문가 54명이 수상했다.

한편 신청서 다운로드 등 기타 포상 공모 관련 사항은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홈페이지(www.kdr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