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7 16:28 (목)
[ESMO 2024] 애브비 엘라히어, 백금민감성 난소암에서도 성과
상태바
[ESMO 2024] 애브비 엘라히어, 백금민감성 난소암에서도 성과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4.09.15 23: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상 2상 긍정적 결과 도출...치료 이력 많은 FRα 고발현 환자에서 반응률 52%

[의약뉴스 in 바르셀로나] 최근 백금저항성 난소암 치료제로 미국 FDA의 허가를 받은 애브비의 엽산수용체알파(FRα) 표적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엘라히어(성분명 미르베툭시맙)가 백금민감성 난소암 환자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15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진행되고 있는 유럽임상종양학회 연례학술회의(ESMO 2024)에서는 백금저항성 난소암, 일차 복막암, 난관암 환자를 대상으로 엘라히어를 평가하고 있는 임상 2상 PICCOLO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이 연구는 이전에 최소 2차례 이상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을 받았거나 알러지가 있는 환자로, 면역조직화학 검사상 FRα가 고발현(PS2+ 75% 이상)된 백금민감성 난소암 환자 79명을 모집해 엘라히어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한 단일군 임상 2상이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 주 97.5%가 탁센을, 81%는 PARP 제제를, 64.6%는 베바시주맙(오리지널 제품명 아바스틴)을 투약했으며, 98.8%가 이전에 2차례 이상 치료를 받은 이력이 있었다. 또한 BRCA 변이 양성인 환자가 27.8%, 음성인 환자는 72.2%를 차지했다.

▲ 애브비의 엽산수용체알파(FRα) 표적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엘라히어(성분명 미르베툭시맙)가 백금민감성 난소암 환자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 애브비의 엽산수용체알파(FRα) 표적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엘라히어(성분명 미르베툭시맙)가 백금민감성 난소암 환자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 결과 1차 평가변수인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은 51.9%로, 6명(7.6%)에서는 완전반응(Completre Response, CR)이 보고됐다.

주요 2차 평가변수인 반응이 있는 환자에서 반응 지속기간(Duration of Response, DoR) 중앙값은 8.3개월(95% CI 5.5-10.8)로 반응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Time To Response, TTR) 중앙값은 1.58개월로 보고됐다.

객관적반응률은 환자의 임상 양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전 치료 이력이 1~2차례인 환자에서는 55.1%, 3차례는 50.0%, 4차례 이상에서도 33.3%의 반응률이 보고됐다.

BRCA 변이 양성 환자에서는 72.7%, BRCA 변이를 확인할 수 없거나 음성인 환자에서도 43.9%에 달했다.

이전에 PARP 저해제 투약 이력이 없는 환자에서는 75.0%, 투약 이력이 있는 환자도 46.9%에 달했고, 이전에 PARP 저해제를 투약하고도 질병이 진행된(Progressive-Disease, PD) 환자에서는 45.8%, 질병이 진행하지 않은 환자에서는 60.0%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PARP 저해제 투약 이력에 따른 반응지속 기간 중앙값은 투약 이력이 없는 환자에서 8.8개월, 투약 이력이 있는 환자에서 8.3개월, PARP 저해제 투약에도 질병이 진행된 환자는 7.3개월, 질병이 진행하지 않은 환자는 8.4개월로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베바시주맙 투약 이력이 없는 환자에서 객관적반응률은 57.1%, 투약 이력이 없는 환자에서는 49.0%, 베바시주맙과 PARP 저해제를 모두 투약한 환자에서는 43.9%, 가장 최근에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에 노출된 후 12개월 이내인 환자에서는 41.9%, 12개월을 넘어선 환자에서는 64.7%로 보고됐다.

이외에 추가 2차 평가변수 중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 중앙값은 6.9개월로 집계됐으며, 다른 2차 평가변수인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 OS) 데이터는 아직 충분하게 쌓이지 않았다.

치료와 관련한 응급 이상반응(TEAE)으로 투약이 지연된 환자는 61%, 용량을 줄인 환자가 42%, 치료를 중단한 환자는 16%로 보고됐다.

이와 관련 연구진은 엘라히어가 FRα 고발현 백금민감성 난소암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항종양 활성과 양호한 내약성을 입증했다면서,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을 2차례 이상 받았거나 백금에 알러지가 있는 환자에게 엘라히어 사용을 뒷받침 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