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가 폐암 분야에서도 고무적인 소식을 전하고 있는 가운데, TROP2 및 CEACAM5 표적 ADC들이 도세탁셀의 벽에 가로막힌 연구 결과들이 연이어 발표돼 눈길을 끈다.
9일(현지시간) 세계폐암학회 연례학술회의(WCLC 2024)에서는 이전에 백금기반화학요법 및 면역항암제로 치료받은 이력이 있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ADC 단독요법을 도세탁셀 단독요법과 비교한 세 건의 임상 연구 결과가 연이어 발표됐으나, 성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다만 세 가지 연구 모두 특정 환자군에서는 ADC가 이득을 보일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먼저 다이이찌산쿄의 TROP2 표적 ADC Dato-Dxd는 앞서 두 가지 1차 평가변수 중 하나인 무진행생존율(Progression-Free Survival, PFS)을 개선했던 TROPION-Lung01 연구의 최종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 OS)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전체생존율은 역시 1차 평가변수 중 하나로, Dato-Dxd군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이 12.9개월, 도세탁셀군은 11.8개월로 집계돼 수치적으로는 개선된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의미있는 차이를 이끌어내지 못했다.(HR=0.94, 95% CI 0.78-1.14, P=0.530)
12, 24개월차 전체생존율은 Dato-Dxd군이 53.8%와 25.8%, 도세탁셀군은 49.9%와 20.2%로 집계됐다.
조직학적으로는 비편평세포암 환자에서 Dato-Dxd군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이 14.6개월, 도세탁셀군은 12.3개월(HR=0.84, 95% CI 0.68-1.05)로 Dato-Dxd군이 조금 더 개선된 양상을 보였으나, 비편평세포암에서는 Dato-Dxd군이 7.8개월로 도세탁셀군의 9.4개보다 짧았다(HR=1.32, 95% CI-1.92).
이에 연구진은 Dato-Dxd가 전신 치료 이력이 있는 비편평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새로운 치료제로서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사노피가 개발하고 있는 CEACAM5 표적 ADC Tusa rav(투사미타맙 라브탄신)은 CEACAM5 발현율이 50% 이상인 비편평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CARMEN-LC03 3상 임상에서 두 가지 1차 평가변수인 무진행생존율과 전체생존율 모두 의미있는 결과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Tusa rav의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5.4개월로 도세탁셀의 5.9개월보다 수치적으로 더 짧았으며(HR=1.14, 95% CI 0.86-1.51, P=0.08204),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12.8개월로 도세탁셀의 11.5개월보다 수치적으로 길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못했다(HR=0.85, 95% CI 0.64-1.11, P=0.112).
다만 CEACAM5 발현율이 80% 이상인 환자에서는 무진행생존율(HR=0.866, 95% CI 0.597-1.257)과 전체생존율(HR=0.711, 95% CI 0.664-1.427)에서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한편, 지난 6월 미국임상종양학회 연례학술회의(ASCO 2024)에서 아쉬운 성적표를 내놨던 길리어드는 트로델비(성분명 사시투주맙 고비테칸) 일부 가능성을 보였던 면역항암제 무반응 환자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추가로 공개했다.
앞서 ASCO 2024에서는 1차 평가변수인 트로델비군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이 11.1개월로 도세탁셀의 9.8개월보다 수치적으로는 길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의미있는 차이를 만들지 못했다.(HR=0.84, 95% CI 0.68-1.04, P=0.0534)
2차 평가변수인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 역시 4.1개월과 3.9개월로 의미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HR=0.92, 95% CI 0.77-1.11)
다만 하위그룹 분석에서 이전에 면역항암제에 치료에서 반응하지 않았던 환자에서는 트로델비군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이 11.8개월로 도세탁셀군의 8.3개월을 상회했다.(HR=0.75, 95% CI 0.58-0.97)
또한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도 4.2개월과 3.7개월로 트로델비군에서 조금 더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HR=0.88, 95% CI 0.70-1.10)
특히 안정병변(Stable Disease, SD)의 환자보다 질병이 진행된(Progessive Disease, PD) 환자에서 보다 뚜렷한 이득을 보였다.
먼저 안정병변 환자에서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12.9개월과 9.95개월, 12개월 전체생존율은 51.9%와 38.9%로 집계됐다.(HR=0.79, 95% CI 0.55-1.13)
질병이 진행된 환자에서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10.8개월과 7.0개월, 12개월 전체생존율은 43.8%와 26.8%로 보고됐다.(HR=0.67, 95% CI 0.46-0.98)
이와는 달리 면역항암제에 반응한 환자에서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9.6개월과 10.6개월로 오히려 수치적으로는 도세탁셀군의 더 길었다.(HR=1.09, 95% CI 0.76-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