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07:45 (수)
만성호흡기질환 유병률ㆍ사망률 증가, 정부 지원 시급
상태바
만성호흡기질환 유병률ㆍ사망률 증가, 정부 지원 시급
  •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 승인 2024.09.04 11: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정책토론회...“1차 의료기관서 치료ㆍ관리 이뤄지도록 노력해야”

[의약뉴스] 천식, COPD 등 만성호흡기질환의 유병률 및 사망률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질환을 가장 많이 접하는 1차 의료기관을 기반으로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뤄지도록 제도적 기반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은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와 함께 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호흡기질환의 만성질환관리제도 도입 추진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 최준영 교수(왼쪽)와 이진국 교수.
▲ 최준영 교수(왼쪽)와 이진국 교수.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가톨릭대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최준영 교수는 ‘국내 천식ㆍCOPD 치료 현황 및 문제점’를 통해 1차의료기관 기반으로 천식ㆍCOPD 환자의 흡입약제 사용 교육 관리를 유도, 확대할 수 있는 의료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국내 천식ㆍCOPD 유병률 및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이다.

천식 유병률은 2021년 기준 만 19세 이상 3.2%, 만 65세 이상 5.4%이며, 입원율은 2019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65명, OECD 평균 34.4명의 약 1.9배로 나타났다.

COPD의 국내 유병률은 2021년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 12.4%, 만 65세 이상 25.6%이며, 입원율은 2019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152.3명(OECD 평균 161.8명)이며, 성인 환자 유병률 추이를 살펴보면, 40세 이상 12.7%, 65세 이상에선 25.6%였다.

유병률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천식ㆍCOPD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 역시 늘어나고 있다.

천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살펴보면, 치료 등 직접적인 비용은 9620억원, 생산성 손실 비용 등 간접 비용은 1조 864억원이었고, 직업 중단율은 44.4%로 나타났다.

COPD의 경우, 직접 의료비용은 2840억원, 환자 1인당 의료비용은 약 323만원, 142만명 환자에 대한 총 사회적 비용 4억 4000만 달러, 약물비용 4100만 달러가 발생했으며, 2012년 한국 질병 부담 연구에 따르면 COPD 10만명 당 DALYs(질병으로 인한 건강수명 손실)는 1,305년으로 비전염성 질환의 DALYs 중 6.21%를 차지했다.

유병률과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는 천식과 COPD에 있어 효과적인 치료제는 ‘흡입약제’지만, 흡입제의 저조하거나 부적절한 사용은 환자의 증상 조절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다.

이에 천식ㆍCOPD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 절감을 위해 발병 초기부터 ‘흡입약제’를 사용한 1차 의료 기반의 적극적인 치료관리가 필요하다는 게 최 교수의 설명이다.

최 교수는 “천식 적정성 평가대상 의료기관 중 89.5%가 1차 의료기관으로 환자 접근성이 가장 좋지만, 1차 의료기관의 절반 이상은 연간 천식 진료 환자가 10명 미만으로 나타났다”며 “COPD의 경우, 의원의 기관 당 환자 수는 4.7명 수준으로 대부분 진료가 종합병원 이상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체 천식 환자의 66.5%는 1차 의료기관에서, COPD 환자의 78%는 종합병원 및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다”며 “천식 치료 약제로는 ‘경구제형’ 83/8%, ‘흡입약제’ 58.8%로 대부분 경구제형을 처방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COPD는 흡입약제 처방 비율이 89.8%이지만, 이는 대다수 환자들이 상급종합병원 또는 종합병원에서 치료받기 때문”이라며 “환자 접근성이 가장 좋고 이용 환자 수가 가장 많은데도, 1차 의료기관의 흡입약제 처방 비율은 39.7%로 상급종합병원 91.4% 대비 매우 낮은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1차 의료기관에서 천식 흡입약제 사용률이 저조한 이유는 천식 흡입약제 교육에 대한 부담과 천식 환자의 낮은 유지치료 비율에 있다”며 “천식ㆍCOPD 흡입약제의 저조하거나 부적절한 사용은 천식ㆍCOPD 환자의 증상 조절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더해 “효과적으로 천식을 치료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1차 의료기관을 기반으로 천식ㆍCOPD 환자의 흡입약제 사용 교육 관리를 유도하고 확대할 수 있는 의료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며 “이를 위해 1차 의료기관에 대한 문진 상담료 수가, 흡입약제 교육상담 수가 도입 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이에 더해 가톨릭대서울성모병원 호흡기내과 이진국 교수도 ‘해외사례에 기반한 호흡기 질환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제언’이라는 발제를 통해 1차 의료기관이 천식, COPD 환자 치료 및 관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교수는 먼저 핀란드의 사례를 소개했다. 핀란드는 1994년 국가적인 차원에서 천식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전체 의사를 대상으로 전면 시행했다. 

대학병원 전문의가 아닌 1차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천식을 어떻게 관리할 지에 대한 체계적인 사업을 10년간 수행한 결과, 천식 환자는 늘어나지만 환자 1인당 약제비의 변화가 거의 없고, 사망과 입원이 드라마틱하게 줄어들었다.

그는 “호흡기내과 및 소아과의사의 경우, 5300명이 참여하는 세션 100회, 1차 및 2차 병원 의사는 3700명이 참여하는 세션 237회 등 수많은 교육을 진행하고, 목표를 달성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했다”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천식을 동네병원으로 가서 진료를 받으라고 홍보를 진행까지 하니, 천식 관리가 잘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핀란드의 사례는 정부가 정책을 잘 만들고, 어떻게 의사들을 잘 끌고 가느냐에 따라 한 질환에 대한 결과가 이렇게까지 좋아질 수 있다는 걸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라고 강조했다.

호주의 경우엔 천식이 있으면 의원에 3번 이상 방문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 교수는 “1차 의료기관에서 천식이라는 질환을 적극적으로 보고, 환자들에게 의원으로 가라고 장려하는 시스템”이라며 “이를 위해 부가적인 교육, 인센티브를 동원해, 많은 효과를 봤고, 의원들에게 천식과 COPD 질환을 잘 보라고 국가 공인자료를 주고, 교육ㆍ점검하라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1차 의료기관을 3번 방문하고, 통일된 교육자료를 줬더니, 천식에 대한 지식이 늘어났고, 증세는 줄어드는 걸 확인했다”며 “3번 진료가 얼마 안 되는 거 같지만 환자에게 충분한 교육을 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가 벤치마킹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의료체계와 비슷한 영국도 1차 의료기관에서 천식, COPD 진료가 굉장히 잘 이뤄지고 있다.

그는 “영국은 천식, COPD 등 1차 의료기관에서 많이 봐야 하는 심뇌혈질환과, 고혈압, 당뇨 등을 지표를 정해주고, 점수를 달성하는 것에 대해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며 “해당 제도가 시행된 지 3년 후, 영국의 1차 의원의 의사 진료 수준이 좋아졌다고 발표했는데, 지표를 만들고, 의원들이 지표를 잘 따라하게 인센티브를 주니 진료 수준이 올라가는 효과를 거둔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1차 의료기관에서 만성호흡기 질환을 잘 보려면 국가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시간도, 의지가 없는데, 의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경우에는 흡입제만큼이나 중요한 ‘호흡재활치료’를 대학병원이 아닌 지방 도시에 있는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이 교수는 “전 국민이 만성기도질환에 대한 인지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이를 끌어올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만성기도질환에 대한 1차 의료 진료의 활성화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선 영국, 호주, 핀란드와 같이 국가 차원의 지원이 이뤄져야한다”고 밝혔다.

또 “폐기능 검사 및 흡입제 사용을 활성화하려면 흡입제 교육 수가가 필요하고, 만성기도질환에 대한 교육수가가 있어야 한다”며 “잘하는 의원에 대한 인센티브를 주면 의료비 지출이 많아지는 게 아닌가 싶겠지만, 핀란드, 호주, 영국의 사례를 보듯이 오히려 의료비가 절감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