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07:45 (수)
정부 “응급의료, 붕괴 우려할 상황 아니다” 재차 강조
상태바
정부 “응급의료, 붕괴 우려할 상황 아니다” 재차 강조
  •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 승인 2024.09.02 1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민수 차관, 일일브리핑 예고...“협력 체계로 문제 풀어갈 수 있다”

[의약뉴스]

정부가 응급의료기관의 단축 운영으로 일부 어려움이 있지만, 붕괴를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2일,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을 진행했다.

▲ 박민수 차관은 응급의료 붕괴를 우려할 상황이 아니라고 발표했다.
▲ 박민수 차관은 응급의료 붕괴를 우려할 상황이 아니라고 발표했다.

정부는 앞으로 국민에게 응급의료와 관련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일일 브리핑을 시작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와 동시에 일각에서 응급의료 붕괴 우려가 있다고 말하지만, 이는 현장 상황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박민수 차관은 “정부는 국민 여러분께 응급의료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오늘(2일)부터 응급의료 일일 브리핑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최근 일부 지역의 응급의료기관 단축 운영 등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정부는 응급의료기관별로 모니터링을 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으며 신속히 추가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반적인 응급의료 역량을 종합적으로 볼 때 일부 어려움은 있지만, 일각에서 제기하는 것처럼 붕괴를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는 것.

정부는 전체 409개의 응급실 중 99%인 406개소는 24시간 운영을 하고 있으며, 6.6%에 해당하는 27개소가 병상을 축소해 운영하고 있으며 응급의료기관 병상은 평시의 97.5%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전문의, 일반의, 전공의를 포함한 총 의사는 평시 대비 73.4% 수준이며, 인력 공백은 군의관과 공보의, 진료지원 간호사, 촉탁의 채용 등을 통해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지금 발생하는 응급의료 문제는 의료개혁이 지체되며 누적된 구조적 문제라는 것.

박 차관은 “현재 당면한 응급의료 문제는 의료 인력 부족 등 오랜 기간 의료개혁이 지체되며 누적된 구조적 문제”라며 “이는 전반적인 의료개혁이 병행돼야 근본적인 해결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범정부적인 모든 가용자원을 동원해 당면한 응급의료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겠다”며 “응급의료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응급의료 붕괴 위험이 있다는 주장은 현장의 구체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는 것.

박 차관은 “정부는 전국 현황을 집계하고, 전체 총량을 보며 응급실 현황 변화가 크지 않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며 “그러나 세밀하게 보면 지역별, 기관별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 이를 부정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현장에 있는 의료진은 전체 그림 보다는 본인이 직접 보고 있는 그런 구체적인 부분을 보고 있기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걸로 이해한다”며 “특정병원이 어려움이 있더라도 인근 의료기관과 협력체계를 유지한다면 어렵지만 문제를 해소하면서 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전반적으로 괜찮다는 건 아니고, 매우 어려움이 큰 건 인정한다”며 “정부는 지자체와 협의하며 의료기관 별로 모니터링하며 문제를 해결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