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7 06:02 (목)
릴리 2세대 KRAS G12C 억제제, 키트루다 병용요법 성과
상태바
릴리 2세대 KRAS G12C 억제제, 키트루다 병용요법 성과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4.08.09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2상 비소세포폐암 코호트 공개...질병조절률 80% 상회

[의약뉴스] 릴리가 개발하고 있는 2세대 KRAS G12C 억제제 올로모라십이 비소세포폐암에서 키트루다와 시너지를 확인했다.

이전에 면역항암제나 KRAS G12C 억제제 투약 이력에 상관없이 80%를 상회하는 질병조절률을 보고한 것.

8일, 일본에서 개막한 미국임상종양학회 ASCO Breakthrough 심포지엄에서는 KRAS G12C 변이 양성 고형암 환자에서 올로모라십을 평가하고 있는 임상 1/2상, LOXO-RAS-20001 연구 중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MSD)와 병용요법을 평가하고 있는 코호트 G 및 코호트 B4에 대한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이 가운데 코호트 G는 이전 전신 치료 이력이 없는 1차 치료 환자로만 구성됐으며 코호트 B4는 이전에 KRAS G12C 억제제나 면역항암제 치료 이력이 있는 환자들도 포함됐다.

▲ 릴리가 개발하고 있는 2세대 KRAS G12C 억제제 올로모라십이 비소세포폐암에서 키트루다와 시너지를 확인했다.
▲ 릴리가 개발하고 있는 2세대 KRAS G12C 억제제 올로모라십이 비소세포폐암에서 키트루다와 시너지를 확인했다.

효능 분석은 두 코호트에서 이전 치료 이력이 없는 1차 치료 환자 17명, 이전 치료 이력이 있는 환자 4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전 치료 이력이 있는 환자 43명 가운데 면역항암제 치료 이력이 있는 환자가 35명(81%), KRAS G12C 억제제 치료 이력이 있는 환자는 16명(37%)를 차지했다.

분석 결과, 두 그룹 모두 완전반응(Complete Response, CR)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은 이전 치료 이력이 없었던 환자에서 77%, 이전 치료 이력이 있었던 환자에서는 40%로 보고됐다.

질병조절률(Disease Control Rate, DCR)은 이전 치료 이력이 없었던 환자에서 88%, 치료 이력이 있었던 환자에서는 81%로 모두 80%를 상회했다.

반응이 나타나기가지의 시간(Time To Reponse, TTR) 중앙값은 1.4개월로 빠르게 반응이 나타났으며, 5.5개월의 중앙 추적 관칠 기간동안 반응 지속기간(Duration of Response, DoR)은 중앙값에 이르지 않았다.

이 가운데 이전 치료 이력이 없었던 환자에서 추정 무진행생존율(Progression-Free Survival, PFS)은 6개월과 12개월 시점에 모두 72.8%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특히 1차 치료에서 올로모라십과 키트루다 병용요법이 PD-L1 발현율에 상관없이 77%의 객관적 반응률을 나타냈고, 무진행생존율도 유망한 추세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