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7 16:28 (목)
일라리스ㆍ페스코 급여 목록 등재, 스텔라라ㆍ듀비메트 인하
상태바
일라리스ㆍ페스코 급여 목록 등재, 스텔라라ㆍ듀비메트 인하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4.07.25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지부, 약제급야 목록 개정...일양디세텔, 40.8% 인상

[의약뉴스] 노바티스의 항-인터루킨(Interlerukin) 1B 항체 일라리스와 로슈의 HER2 표적 유방암 치료제 복합제 페스코가 급여목록에 등재된다.

영유아로 적응증을 확대한 듀피젠트(사노피)와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개방된 스텔라라(얀센)는 급여 상한액이 인하된다.

보건복지부는 24일, 이와 같은 내용을 담아 ‘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를 일부 개정, 발령했다.(보건복지부 고시 제2024-152호)

고시에 따르면, 최근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적 증후군과 종양괴사인자 수용체 관련 주기적 증후군, 가족성 지중해 열 등에 급여를 인정받은 일라리스는 병당 1102만 9469원으로 급여 상한액이 책정됐다.

HER2 표적 유방암 치료제 퍼제타(성분명 퍼투맙)와 허셉틴(성분명 트라스투주맙) 복합제인 페스코피하주사는 600/600밀리그램이 10mL 병당 349만 410원, 1200/600밀리그램은 15mL 병당 591만 4418원으로 등재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에피즈텍프리필드주는 90mg/1mL 제형이 1mL 관당 134만 2320원으로 추가 등재된다.

동국생명과학의 조영제 메디레이350주도 50mL 병 당 2만 7300원으로 추가 등재된다. 신설 품목들의 시행일은 모두 8월 1일이다.

▲ 보건복지부는 24일, ‘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를 일부 개정, 발령했다.(보건복지부 고시 제2024-152호)
▲ 보건복지부는 24일, ‘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를 일부 개정, 발령했다.(보건복지부 고시 제2024-152호)

에피즈텍 등 바이오시밀러가 급여 목록에 등재되면서 오리지네이터인 스텔라라는 프리필드주 45mg/0.5mL와 90mg/1mL, 피하주사 45mg/0.5mL, 정맥주사 0.13g/26mL 등 4개 폼목의 상한액이 모두 20% 인하된다.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의 급여 범위가 영유아로 확대되는 듀피젠트는 프리필드주와 프리필드펜 모두 200밀리그램이 5.9%, 300밀리그램은 3.0% 인하된다.

GSK의 ICS+LABA 복합제 렐바엘립타도 100과 200 모두 4.7% 인하되며, 종근당의 시타그립25, 50, 100밀리그램, 듀비메트서방정 0.25/500밀리그램과 0.25/750밀리그램, 0.25/1000밀리그램, 듀비메트에스서방정 0.25/50/500 밀리그램과 0.5/100/1000밀리그램, 듀비에에스정 등 9개 품목의 상한액은 12.5~12.6%씩 인하된다.

이외에 애브비의 혈액암치료제 벤클렉스타도 10밀리그램과 50밀리그램 100밀리그램의 상한액이 모두 3.5% 인하된다.

반면, 일양약품의 일양디세텔은 40.8%, 오츠카의 부설펙스주는 30.7%, 파마사이언스코리아의 푸설칸주는 11.1% 인상된다.

여기에 더해 JW중외제약의 5%포도당가엔에이.케이주1과 2가 각각 9.0%와 6.7%, 중외주사용수는 5.5%, 중외5%포도당주사액은 2.3%, 중외5%포도당생리식염액은 2.0% 인상된다. 

변경 품목들의 시행일 역시 8월 1일로, 이 가운데 스텔라라 4개 품목의 급여 상한액은 내년(2025년) 7월 1일 추가로 12.5%씩 인하된다.

한편, 내달 1일 급여 상한액이 10.3~23.2%씩 인하될 예정이었던 휴온스의 펠로엔정과 영진약품의 펠프스정, 대원제약의 펠루비에스정 등은 기존의 상한액이 유지되며, 내년 8월 1일 예정됐던 상한액(정당 96원)으로 인하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