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이 19일 취임하며 국민의 일상회복을 선언한 가운데 보건의료계에서는 멀티데믹 상황에 대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 대응을 주문하고 나서 갈등이 예상된다.

질병관리청은 19일, 지영미 신임 질병관리청장의 취임식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지영미 청장은 취임사를 통해 ▲코로나19 위기대응체제에서 단계적으로 벗어나기 ▲조직 효율화, 합리화 ▲세계를 선도하는 기관으로 발전 등을 주요 업무 추진 방향으로 제시했다.
지 청장은 “코로나19에 대처하기 위한 위기대응체제에서 단계적으로 벗어나 질병관리청에 부여된 본연의 과제들을 균형 있게 추진하겠다”며 “코로나19를 통제 가능한 유행으로 관리해 국민의 일상회복에 한 발짝 다가서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동절기 추가접종과 먹는 치료제의 적극 처방 안내를 통해 건강취약계층이 보호되도록 만전을 기하겠다”며 “비상 상황에 부응해 만들어진 조직을 상시적, 정규적 운영체계로 전환하고, 인력과 자원을 재배치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나 위기대응체제에서 일상체제로의 전환을 언급한 질병관리청장의 취임사에 보건의료계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놨다.
일상회복도 중요하지만, 연일 확진자가 증가하는 시점에서 국민에게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보건의료계 전문가 A씨는 “현재 겨울철 재유행으로 코로나19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며 “감염병의 위험은 여전한데 계속 정치권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논의 등 완화안이 나오면서 방역에 대한 경각심이 낮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이런 시점에서 질병관리청이 먼저 일상회복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면 잘못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며 “지나치게 느린 행정도 문제지만, 지금같이 감염병의 위험이 실존하는 시점에서 이런 의지 표명은 방역 컨트롤타워로서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에 독감이 동시에 유행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도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보건의료계 전문가 B씨는 “올해는 계절 독감이 유독 빠르게 유행했고, 무서운 기세로 환자가 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일선 약국에서는 약이 부족하다는 말이 나오고, 이비인후과 병원은 환자들이 1시간 이상 대기하며 진료를 볼 정도로 붐비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장의 상황이 좋지 않은데, 질병 컨트롤 타워인 질병청의 대응책은 잘 보이지 않는다”며 “방역에 대한 인식이 낮아진 현시점에 적극적인 활동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연말연시 시민들의 모임이 많은데, 환자들이 속출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이런 점을 고려해서 질병청이 방역과 관련된 메시지를 계속 전달해야 현장의 어려움이 가중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질병청이 외부 논란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책을 펴길 바란다”며 “미래를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 상황에 대한 대응도 더 힘을 써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조코바'라는 이름으로 3상을 완료했고, 일본에서 긴급승인을 받은 약입니다.
경증 치료제가 없는 지금의 상황에서는 가장 최선을 선택이며, 해열제, 감기약 등으로 단순 떼우기는 이제 그만해야 합니다.
사망자와 중증 환자가 늘어가는 시기에 '조코바'가 빨리 승인하여 코로나로 힘들어하는 국민들에게 보급되길 간절히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