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19 07:46 (금)
[건협 서울동부지부] 식중독
상태바
[건협 서울동부지부] 식중독
  • 의약뉴스
  • 승인 2017.06.23 14: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4절기 중 열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천문학적으로는 일년 중 태양의 적위가 가장 커지는 시기이기도 한 하지(夏至)가 찾아왔다. 휴가의 계절이기도 한 여름철에는 뜨거운 햇빛과 높은 습도 때문에 다양한 질병에 노출되기 쉽다. 덥고 습한 초여름 날씨는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가 좋아하는 날씨이기도 한데, 특히 음식물이 쉽게 상하기 때문에 식중독과 장염에 걸릴 위험이 다른 계절보다 월등히 높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에서 제공하는 건강 정보를 통해  여름을 걱정하게 하는 대표 질병인 식중독에 대해서 알아보자.

◇ 식중독, 평소에 알아두면 좋을 건강 필수 상식
 덥고 습한 날씨가 되면 균이 번식하기 쉽고 음식이 상하기 쉽다. 배탈이 나서 고생을 해 본 사람이면 건강을 미리 지키는 것이 소중하다는 사실을 기억할 것이다. 식중독은 오염된 음식물 섭취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화기계 증후군을 말하며 크게 미생물(30종), 자연독(3종), 화학적(5종)의 원인으로 나뉜다.

 우리가 주로 걸리는 식중독은 미생물이 원인인 살모넬라, 장염비브리오와 같은 세균성 감염에 의한 것인데, 고의나 오용으로 첨가되는 식품첨가물에 의해 식중독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식중독균은 4˚C에서 60˚C 사이 온도에서 증식하므로 뜨거운 음식은 60˚C 이상으로, 찬 음식은 4˚C 이하로 보관하면 세균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 바이러스인 노로 바이러스의 경우 사람 간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오염된 표면은 소독제를 사용하여 철저히 세척·소독하고 바이러스에 감염된 옷과 이불은 비누를 사용해 삶아서 빤다.

◇ 여름철 가정과 휴가지에서 식중독 예방하기
 여름철 가정과 휴가지에서 음식을 조리하거나 섭취할 때는 각별히 주의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식중독은 2~3일 정도의 충분한 휴식을 통해 회복되지만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손을 철저히 씻어야 한다. 음식을 조리하기 전, 외출 후, 화장실 사용 후, 식사 전에는 반드시 세정제와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깨끗이 닦아야 한다.

 손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음식을 조리하지 않고 이상한 냄새가 나거나 곰팡이가 핀 음식은 바로 버린다. 모든 음식물은 익혀서 먹고 조리한 식품은 냉장∙냉동 보관하며, 부엌 내 청결을 위해 행주, 수세미, 도마, 칼 등은 열탕 소독하거나 햇볕에 말린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휴가지에서 음식을 직접 취식할 때는 항상 신선한 재료를 구입하고 물은 끓이거나 정수된 것을 사용한다.

식중독 예방 장보기 TIP

① 실온에 보관할 수 있는 가루나 곡물을 먼저 담는다.
② 냉장이 필요한 과일, 채소, 햄 등을 고른다.
③ 냉동이 필요한 해물 등은 마지막에 담는다.
④ 장을 보고 난 후에는 음식 재료를 차에 오래 두지 않는다.
⑤ 집에 돌아와서는 바로 냉장고에 넣어 둔다.
⑥ 냉면이나 콩국수를 조리할 때는 육수와 콩국을 가열하고 난 후 빨리 냉각시킨다.
⑦ 샐러드용 채소를 씻을 때는 식초를 희석한 물에 잠시 담갔다가 헹군다.


 야외 활동 시 준비해 간 김밥이나 도시락 등은 보관 온도가 높아지거나 보관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아이스박스를 사용하여 섭취 및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이동 중에 온도가 높은 자동차 트렁크나 내부에 음식을 보관하지 않도록 하고 길거리 음식이나 위생이 좋지 않은 음식물 섭취는 자제한다.

 휴가지에서 음식을 직접 취식할 때는 항상 신선한 재료를 구입하고 물은 끓이거나 정수된 것을 사용한다. 특히 산이나 들에서 버섯이나 과일 등을 함부로 따 먹지 않도록 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 건강증진의원 박정범 원장은 “식중독을 비롯한 여름철 주요 발생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세정제를 사용해 30초 이상 올바른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설사, 발열, 가려움증 등 몸의 이상 징후가 발생될 경우에는 반드시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자료제공: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