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바티스는 지난 2분기에 환율 영향과 안과약물 사업부의 저조한 매출로 인해 기업의 전체매출액이 하락했지만 시장전문가들은 새로운 심부전 치료제 엔트레스토(Entresto)가 회사를 정상적인 성장궤도로 올려놓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회사의 2분기 매출액은 전년대비 5% 하락한 127억 달러를 기록했다.
제약사업부 또한 고혈압 치료제 디오반(Diovan)과 에스트로겐 패치 바이브렐-닷(Vivelle-Dot) 같은 제품이 제네릭 경쟁에 직면하면서 78억 달러로 약 4%가량 매출이 감소했다.
회사의 순이익은 18억6000만 달러로 32% 감소했으며 일부 항목을 제외한 핵심 순이익도 30억7000만 달러로 8% 줄어 예상에 못 미쳤다. 앞서 시장전문가들은 31억2000만 달러의 핵심 순이익을 예상했다.
올해 노바티스는 미국 달러 강세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미국에서 곧 출시될 엔트레스토는 앞으로 수개월 이내에 제약사업부의 성장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일부 시장전문가들은 제품의 최대 매출액이 약 5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노바티스의 조 지메네즈 최고경영자는 약물 가격을 예상보다 약간 높게 책정한 결정이 미국에서 실질적인 반발을 불러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약사업부에서 다른 긍정적인 부분은 경구용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길레니아(Gilenya)의 매출이 전년대비 26% 증가한 7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백혈병 치료제 타시그나(Tasigna)의 매출도 4억1200만 달러로 21%가량 올랐다는 것이다.
타시그나는 현재 미국 외 지역에서 제네릭 의약품과의 경쟁이 시작된 글리벡(Glivec)의 후속약물인 노바티스의 핵심 제품이다. 글리벡의 매출은 여전히 회사의 전체 매출액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작년과 비교하면 1% 감소한 11억8000만 달러에 머물렀다.
항암제 아피니토(Afinitor)는 매출이 4억2300만 달러로 19% 늘었지만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의 옵디보(Opdivo) 같은 신약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가능성이 높다.
호흡기약물 사업부에서 지속성 무스카린 길항제 및 지속성 베타 작용제가 합쳐진 복합제 울티브로(Ultibro)의 매출은 작년에 비해 3배가량 증가한 6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제약사업부의 데이비드 엡스타인 사장은 이 약물이 시장에서 다른 경쟁약물보다 더 좋은 성과를 보였다고 강조했다.
회사 측은 제네릭사업부인 산도스(Sandoz)의 탄탄한 실적 또한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전반적인 매출액은 11% 향상됐으며 바이오시밀러 부문 매출은 57%나 증가했다.
최근에 승인된 코팍손에 대한 제네릭 제품인 글라토파(Glatopa)는 산도스의 새로운 성장동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반면 안과질환 치료제 사업부인 알콘(Alcon)은 시장 경쟁의 증가와 신흥시장에서의 성장 둔화로 인해 순매출이 9% 하락하는 등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지메네즈 CEO는 “노바티스는 엔트레스토와 글라토바의 미국 승인 및 출시 등을 통해 혁신을 이루기 위한 튼튼한 분기실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노바티스는 올해 회사의 전체 매출액이 한 자릿수 중반대의 성장률을 보일 것이며 영업이익은 한 자릿수 후반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