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5-07 06:42 (화)
국내 필요 28개 백신, 생산 가능 8종뿐
상태바
국내 필요 28개 백신, 생산 가능 8종뿐
  • 의약뉴스 손락훈 기자
  • 승인 2013.10.21 09: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희국 의원, 백신 자급률 28.5%에 불과...공급 중단시 심각한 상황 발생

새누리당 김희국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생산 가능한 백신은 28개 주요백신 중 단 8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백신 중 필수예방접종백신 15종 중 8개종이 생산 불가하며, 기타예방접종백신 9개는 모두 생산이 불가하고, 대유행 및 대테러 예방백신 4종 중 3개가 각각 생산이 불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백신 중 필수예방접종백신은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 감염병에 대한 백신으로 국가에서 접종비용을 지원하며, B형간염, 일본뇌염, 수두, 인플루엔자 백신 등 15종이 있고, 대유행 및 대테러 백신은 생물테러 및 그 밖의 감염병 대유행을 대비하기 위한 백신으로 두창, 탄저, 조류독감 백신 등 4종이 있다. 기타예방접종백신은 일본뇌염, A형간염, 패렴구균, 대상포진 등 9개종이다.

우리나라는 2020년이 되어서야 필수백신 93%, 기타백신 55%, 대유행 및 대테러 백신 100%를 생산한다는 계획인데 2013년부터 향후 7년간은 우리 국민의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고, 2020년이란 기간도 식약처의 백신개발 지원계획서 상 목표일 뿐, 실제 백신 개발 상황에 따라 더 길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그간 백신 자급화의 중요성은 누구나 공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자급률이 높지 않은 요인은 기술과 돈이다.

초기 투자비용이 크고, 고난도 기술이 요구되는데 반해 국내 업체는 상대적으로 영세한 규모이기 때문에 현재 해외 5개 글로벌 거대 제약사가 全세계 백신시장의 86%를 점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의 백신 개발 및 생산에 필요한 원천기술과 자본부족 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김희국 의원은 “지난 2009년 신종플루가 全세계적으로 유행했을 때의 백신 품귀현상을 기억해야 한다. 당시 국내에서 생산되는 백신이 없고, 거의 수입에 의존함에 따라 초기 백신 확보가 불투명하여 접종시기 지연 등 혼란이 초래되어 국민들의 불안과 불편을 초래했다”며 “모든 질병은 사후 치료보다 예방이 우선이므로 국민의 안전을 책임질 ▲필수예방접종백신 ▲대유행 및 대테러 백신 ▲기타예방접종 백신의 자급화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은 만큼 시급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