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20:12 (금)
포토 리스트

사진 (전체 69525건)

▲ (왼쪽부터) 정재연 교수, 은정우 교수, 김순선 교수, 장세하 연구원

2025-06-09
 기사보기

▲ 이순규 교수

2025-06-09
 기사보기

▲ 임선 교수가 시행하는 내시경 연하검사가 6000례를 돌파했다.

2025-06-09
 기사보기

▲ (왼쪽부터) 박섭리 교수, 김남후 교수, 김경민 교수, 이병호 교수, 이재남 교수

2025-06-09
 기사보기

▲ 경희대병원이 2025 개원의 의학연수교육을 개최한다.

2025-06-09
 기사보기

▲ 양산부산대병원이 신장이식 400례를 달성했다.

2025-06-09
 기사보기

(왼쪽부터) 정보영 교수, 김대훈 교수, 박한진 교수, 양필성 조교

2025-06-09
 기사보기

오장군은 이름과는 달리 파이브 스타가 아닌 이등병으로 군생활을 시작했다. 그리고 스파이 작전에 투입돼 입대 한 달 만에 죽었다.

2025-06-09
 기사보기

▲ 병원 입점을 믿고 약국을 분양받았지만, 약속과 달리 병원 입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면 약국 분양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2025-06-09
 기사보기

첸 교수는 “이베니티는 임상 현장에서 환자에게 처방을 고려할 때 최우선으로 검토해야 할 약제”라며 “단순히 골밀도 개선이라는 지표뿐 아니라 환자들이 직접 체감하는 삶의 질 향상과 통증 완화 효과에 대해서도 학계와 대중에게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2025-06-08
 기사보기

▲ 송주현 회장은 “고관절 골절 진료의의 입장에서 고관절 골절이 한 번이라도 발생한 환자는 골절 초고위험군으로 판단한다”면서 “STRUCTURE 연구 결과, 이베니티는 고관절 부위에서 유의한 골밀도 증가를 보인 반면, 부갑상선 호르몬 투여군은 오히려 골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됐는데, 이에 많은 고관절 전문의들이 부갑상선 호르몬에서 이베니티로 치료 전략을 전환하고 있다”고 전했다.

2025-06-08
 기사보기

▲ 국내외 골다공증 진료지침에서 환자들을 골절 위험도에 따라 보다 세분화해 그에 맞는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대한고관절학회 국제학술대회 ICKHS 2025에서는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골형성 촉진제 ‘이베니티(성분명 로모소주맙)’의 임상적 가치를 조명하는 세션이 마련돼 이목을 끌었다. 의약뉴스는 이 자리에서 대만의 뼈건강 최적화 전략(Bone health optimization strategies)을 공유한 대만 가오슝 의과대학 청환 첸 교수(사진 왼쪽)와 대한고관절학회 송주현 회장을 만나 고관절 골절을 중심으로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에 대한 치료 전략과 과제를 조명했다.

2025-06-08
 기사보기
사진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