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19:40 (수)
대한약사회, 정부에 팍스로비드 반품 문제 해결 촉구
상태바
대한약사회, 정부에 팍스로비드 반품 문제 해결 촉구
  •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 승인 2025.05.27 05: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공급에서 자율 공급으로 전환...“감염병 대응 위해 정부가 책임감 보여야”

[의약뉴스] 대한약사회가 팍스로비드의 공급 방식 전환에 앞서 정부 차원에서 반품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 귀추가 주목된다.

약사회 노수진 홍보이사는 26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팍스로비드 공급 전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설명하며 정부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노수진 이사는 팍스로비드 반품과 관련해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 노수진 이사는 팍스로비드 반품과 관련해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팍스로비드는 정부가 직접 제약사와 거래한 이후 약국에 공급했지만, 오는 6월 1일부터는 다른 의약품처럼 약국에서 유통사를 통해 구매하는 자율 공급 방식으로 바뀐다.

이러한 변화는 정부가 팍스로비드를 건강보험에 등재한 뒤, 일반의료체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이 가운데 약사회는 팍스로비드 자율 공급을 앞두고, 제약사가 유효기한이 2026년 6월 30일까지인 경우에는 반품할 수 있지만, 2026년 6월 30일 이후인 제품들의 반품은 불가하다고 발표해 약국이 재고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팍스로비드의 매입가가 30정 한 팩에 94만원으로 약국의 부담이 큰 상황에서 제약사가 반품 불가 기조를 유지하면, 약국에서 재고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 수 있고, 그 피해는 국민이 볼 수 있다는 주장이다.

노수진 이사는 “고가 약인 팍스로비드의 반품이 안 된다면 약국에서 여러 부담을 져야 하는 상황”이라며 “팍스로비드가 고가 약이지만, 조제료는 5000원 수준에 불과해, 카드 수수료 등을 고려하면 오히려 약국이 손해를 보는 구조”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구조에서는 약국들이 팍스로비드 재고를 적극적으로 확보하기 어렵다”며 “약국에서 약을 적극적으로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 길어지면, 결국 감염병이 퍼질 때 환자들이 피해 보는 일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약사회는 정부가 책임지고 팍스로비드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팍스로비드는 일반적인 질병에 쓰이는 치료제가 아니라 정부에서 관리하는 법정감염병인 코로나19 치료제이기 때문에 제도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노 이사는 “팍스로비드는 법정감염병인 코로나19 치료제이므로 국가 차원에서 관리해야 한다”며 “약을 독점 생산하는 제약사가 가격부터 반품 정책까지 일방적으로 통보하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 강력하게 개입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구체적으로 “정부가 반품을 확실하게 보장해야 한다”며 “감염병은 빠르게 퍼지기 때문에 의약품의 수요를 예측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어, 이를 고려해서 정부가 공급량이나 비축량을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약사들이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가 있으니,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정부가 주도해야만 국민 건강을 지킬 수 있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