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19:40 (수)
케렌디아, 심방세동 상태에 상관없이 심부전 악화 감소
상태바
케렌디아, 심방세동 상태에 상관없이 심부전 악화 감소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5.03.31 11: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FINEARTS-HF 3상 2차 분석...발작성ㆍ만성 심방세동 모두 유리

[의약뉴스] 박출률 경도감소(HFmrEF) 및 보존 심부전(HFpEF) 환자에서 케렌디아(성분명 피네레논)이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심방세동 유무나 유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지난 29일 미국의사협회지 JAMA Cardiology에는 박출률 경도 감소 및 보존 심부전 환자에서 케렌디아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한 FINEARTS-HF의 2차 분석 결가가 게재됐다.

이 연구는 심실 박출률 40% 이상의 박출률 경도감소 심부전 및 박출률 보존 심부전 환자 6000여 명을 케렌디아군과 위약군에 1대 1로 무작위 배정,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했다.

1차 평가변수는 심부전 악화(심부전으로 인한 계획되지 않은 입원 또는 응급실 방문) 또는 심혈관 사건으로 인한 사망의 합으로 정의했다.

▲ 박출률 경도감소(HFmrEF) 및 보존 심부전(HFpEF) 환자에서 케렌디아(성분명 피네레논)이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심방세동 유무나 유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 박출률 경도감소(HFmrEF) 및 보존 심부전(HFpEF) 환자에서 케렌디아(성분명 피네레논)이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심방세동 유무나 유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32개월의 중앙 추적관찰 기간 케렌디아군의 3003명의 환자 가운데 1차 평가변수 관련 사건은 624명에서 1083건이, 위약을 투약한 2998명 중에서는 719명에서 1283건이 발생, 케렌디아군의 심부전 악화 또는 심혈관 사건으로 인한 사망의 위험이 16% 더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HR=0.84, 95% CI 0.74-0.95, P=0.007)

특히 심부전 악화는 케렌디군에서 842건, 위약군에서는 1024건이 발생, 케린디아군의 심부전 악화 위험이 18% 더 낮은 것으로 보고됐다.(RR=0.82, 95% CI 0.71-0.94, P=0.006)

이어 29일에 게재된 초록은 이 환자들을 다시 기저시점의 심방세동 상태에 따라 ▲심방세동이 없었던 환자,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 ▲지속성ㆍ영구성 심방세동 환자루 구분해 다시 평가했다.

연구에 참여한 5984명의 심방세동 환자 가운데 1384명이 발작성, 1886명은 지속성ㆍ영구성 심방세동 환자였다.

이 가운데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1차 평가변수 관련 사건은 100인년(person-years) 당 20.3건, 지속성ㆍ영구성 심방세동 환자에서는 19.8건, 심방세동잉 없었던 환자에서는 11.9건이 발생,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에서 심혈관 사건 재발 위험이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심방세동이 없는 환자 대비 비율비(Rate Ratio=RR)는 발작성 심부전 환자가 1.62(95% CI 1.37-1.92), 영구성ㆍ지속성 심방세동 환자는 1.66(95% CI 1.43-1.93)으로 보고됐다.

또한 케렌디아의 이득은 심방세ehd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아서, 심방세동이 없는 환자에서 비율비가 0.80(95% CI 0.74-0.95),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에서는 0.83(95% CI 0.65-1.06), 지속성 또는 영구성 심방세동 환자에서는 0.85(95% CI 0.69-1.05)로 집계됐다.(P-interaction=0.94)

한편, 기저시점에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이 없었던 환자 중 6.5%가 연구 중 심방세동, 또는 심방조동이 발생했으며, 전체 환자에서 발생률은 100인년 당 2.7건으로 키네레논군에서 2.4건, 위약군에서는 3.1건이 발생, 3년차 발생률은 7.8%와 8.9%로 집계됐다.

또한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이 발생한 환자에서는 1차 사건 발생 위험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R=3.65, 95% CI 2.57-5.18, P<0.001), 케렌디아를 투약한 환자에서 신규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이 더 적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subdistribution hazard ratio=0.77, 95% CI 0.57-1.04, P=0.0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