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19:40 (수)
자렐토ㆍ엘리퀴스, 암 수술 시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에 유용
상태바
자렐토ㆍ엘리퀴스, 암 수술 시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에 유용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5.03.10 12: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개 연구 1600명 환자 메타분석...출혈 위험엔 큰 차이 없어

[의약뉴스] 자렐토(성분명 리바록사반, 바이엘)와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 화이자ㆍBMS) 등 직접작용 경구용 항응고제(Direct Oral Anti-Coagulant, DOAC)가 종양 제거 수술을 받은 암환자의 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에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사우디아라비아 연구진은 최근 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이 같은 내용의 메타분석 결과를 게재했다.

연구진은 종양 제거 수술 환자에서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저분자 헤파린 주사에 비해 편의성이 뛰어난 DOAC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이 같은 연구를 진행했다고 취지를 밝혔다.

▲ 자렐토와 엘리퀴스 등 직접작용 경구용 항응고제(Direct Oral Anti-Coagulant, DOAC)가 종양 제거 수술을 받은 암환자의 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에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 자렐토와 엘리퀴스 등 직접작용 경구용 항응고제(Direct Oral Anti-Coagulant, DOAC)가 종양 제거 수술을 받은 암환자의 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에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이에 종양 제거 수술 환자에서 자렐토와 엘리퀴스,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 다이이찌산쿄)를 평가한 임상연구들을 검색, 이 가운데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4건의 무작위 대조 임상 연구를 선별했다.

4건의 연구는 각각 ▲부인암에서 엘리퀴스 2.5mg 1일 2회 28일 요법을 에녹사파린과 ▲부인암에서 자렐토 10mg 1일 1회 30일 요법을 에녹사파린과 ▲폐암에서 자렐토 10mg 1일 1회 7일 이하 요법을 나드로파린과 ▲대장암에서 자렐토 10mg 1일 1회 30일 요법을 위약과 비교했다.

분석 결과, 4건의 연구에 포함된 총 1600명의 환자 가운데 89건의 정맥혈전색전증이 보고됐으며, DOAC를 투약한 환자 805명 중에서는 34건, 저분자 헤파린 또는 위약을 투약한 795명 중에서는 55건이 발행했다.

이 가운데 자렐토 10mg 1일 1회 30일 요법은 위약과 비교해 종양 제거 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이 73% 더 낮았으며(RR=0.27, 95% 0.08-0.95), 통계적으로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엘리퀴스(RR=0.24, 95% CI 0.03-2.23)와 저분자 헤파린(RR=0.37, 95% CI 0.10-1.43) 또한 위약보다 정맥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이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분자 헤파린과 비교하면 자렐토 10mg 30일 요법(RR=0.72, 95% CI 0.46-1.11)과 엘리퀴스(RR=0.64, 95% CI 0.11-3.79) 모두 종양 제거 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 발생률이 더 낮았지만, 역시 통계적으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외에 엘리퀴스는 자렐토 10mg 1일 1회 30일 요법(RR=1.12, 95% CI 0.18-6.98)보다 정맥혈전색전증 발생률이 다소 낮은 것으로 집계됐으나, 이 또한 통계적으로는 차이가 없었다.

안전성에 있어서는 평가 가능한 총 1594명의 환자 가운데 36건의 주요 출혈(Major Bleeding)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DOAC를 투약한 801명에서는 22건이, 저분자 헤파린을 투약한 511명 중에서는 14건이 보고됐고, 위약군에서는 주요 출혈이 보고되지 않았다.

위약이 저분자 헤파린이나 엘리퀴스, 자렐토 10mg 1일 1회 30일 요법에 비해, 저분자 헤파린과 엘리퀴스는 자렐토 10mg 1일 1회 30일 요법에 비해 주요 출혈(Major Bleeding)의 발생률이 낮았으나, 역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임상적으로 연관이 있는 비(非)주요출혈(clinically relevant non-major bleeding)은 DOAC 군에서 20건, 저분자 헤파린 투약군에서는 23건, 위약군에서는 5건이 보고됐으며, 역시 각 치료제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고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