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K-Pharma, 대한민국의 건강한 미래
올해로 창립 80주년을 맞이한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국민과 함께 100년을 향한 대도약을 선언했다. 제약바이오산업이 국민 건강과 대한민국 경제의 희망이 되겠다는 포부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21일, 협회 창립 80주년을 맞아 신년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노연홍 회장은 제약바이오산업이 국민적 성원에 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노 회장은 간담회에 앞서 현재 국내외 상황을 도전과 불확실성의 시기라 진단했다.
그는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등과 맞물린 자국 산업 보호주의 강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기조 심화 등 국제 통상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면서 “국내적으로도 이어지는 저성장 기조와 고환율, 투자심리 위축 등 경제 지표와 산업 환경은 그 어느때보다 높은 위기감을 갖게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한국제약바이오산업은 지난해 대내외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저력을 발휘하며 많은 성과를 냈다”면서 “국내 의약품시장 규모는 사상 처음 30조원을 돌파했으며, 세계 3위의 신약 파이프라인 보유국으로 올라섰고, 기술수출 계약은 9조원에 달했다”고 내세웠다.
여기에 더해 “국내 개발 신약이 미국과 유럽 등 선진 시장에서 잇달아 승인을 받았고, 기업들은 현지 공장 인수와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등 적극적으로 해외시장 공략을 가속화했다”고 힘주어 말했다.
협회는 지난해 신약의 혁신 가치를 반영하는 약가 우대 및 환급 제도(이중가격제)를 마련하고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통해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했으며, AI신양융합연구원을 설립해 AI신약개발을 가속화하는 등 산업의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또한, 제조품질혁신위원와 바이오벤처특위를 설치, 바이오원부자재 기술개발 사업 및 국산화를 추진하고, 신규제형 기반 개량의약품 및 바이오베터 제품화와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등 제조ㆍ혁신역량을 고도화했다.
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중국 등과의 민관 협력을 강화하고, 미국 보스톤 CIC, 바이오USA, CPHI 등을 통해 선진시장 진출을 위한 지원을 확대했다.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창립 8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에는 ‘제약바이오 비전 2030’을 마련, 대도약에 나선다.

노 회장은 “2025년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창립 80주년을 맞이한다”면서 “1945년 10월 광복직후의 척박한 환경에서 ‘조선약품공업협회’라는 이름으로 돛을 올렸던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이제 도전과 혁신의 80년을 넘어, 국민과 함께 100년을 향한 대도약의 힘찬 걸음을 내딛고자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를 위해 “’K=Pharma, 대한민국의 건강한 미래‘를 비전으로 혁신하고, 협력하며, 신뢰받는 제약바이오산업의 선두에 서겠다”면서 “AI 융복합 디지털화 등 산업 패러다임의 대전환에 부응해 신약 연구개발 역량을 증대하고, 지속적이고 합리적인 규제개혁의 촉진자가 되어 국민 편익과 산업 역량을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제약바이오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공격적인 맞춤형 해외 시장 공략으로 산업 경쟁력과 미래가치를 증명해 나가겠다”면서 “제조 역량 고도화와 안정적인 의약품 공급체계 구축, 윤리경영 확립과 사회적 책임 실천으로 국민적 성원에 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역설했다.
협회는 ’K=Pharma, 대한민국의 건강한 미래’라는 비전 하에 혁신과 협력, 신뢰라는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 ▲다양한 협력 모델로 글로벌 성과 증대, ▲제조역량 강화로 국민건강 안전망 구축 등 3가지 목표를 설정했다.
제약바이오산업 매출액의 15% 이상을 R&D에 투자하고, 1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의약품 5개를 창출, 신약개발 선도국이 되겠다는 포부다.
또한, 다양한 협력 모델을 통해 제약바이오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을 50% 이상 확대하고, 건강한 생태계를 기반으로 5개의 글로벌 50대 기업을 유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더해 제조역량을 강화, 필수의약품의 적기 공급 100%를 달성하고, 원료 및 필수예방백신 자급률도 50%를 달성, 국민건강의 안전망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협회는 ▲신약개발 혁신성장 생태계 구축, ▲제약바이오 글로벌 경쟁력 제고, ▲읭갸품 점근성 제고와 사회적 책임 강화 등 3대 전략을 마련했다.
이 가운데 신약개발 혁신 성장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과제로는 △오픈이노베에션 촉, △디지털 전환 및 AI 등 신기술 융합, △규제혁신 및 공정한 신약가치 인정, △R&D 인프라 확대 및 인재 양성을 과제로 설정했다.
또한 제약바이오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선진시장 진출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신흥시장 진출 네트워크를 강화하며, △글로벌 생산 및 교육 허브로 도약, △글로벌 규제 조호와 G2G 협력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의약품 접근성 제고와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해 △제조ㆍ품질 혁신과 안전공급 체계 확보, △백신 개발 촉진을 위한 투자 및 제조 환경 개선, △원료ㆍ소부장산업 육성 및 공급망 다변화, △제약바이오기업의 윤리경영 강화 등을 과제로 설정했다.
나아가 노 회장은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정부에 ▲제약바이오 혁신기반 구축을 위한 정부의 R&D 지원 확대, ▲AI 신약개발ㆍ빅데이터 등 디지털 혁신 생태계 조성, ▲안정적인 연구개발ㆍ투자 유인을 위한 예측 가능한 정책 수립, ▲의약품 수출 확대를 위한 정책적ㆍ제도적 지원책 마련 등을 당부했다.
끝으로 노 회장은 “2025년, 국민 건강과 대한민국 경제의 희망이 되는 한국제약바이오산업 100년의 도약을 위해 뛰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