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19:40 (수)
[ESMO ASIA 2024] 베링거 존거티닙, HER2 변이 비소세포폐암에서 긍정적 데이터 유지
상태바
[ESMO ASIA 2024] 베링거 존거티닙, HER2 변이 비소세포폐암에서 긍정적 데이터 유지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4.12.06 11: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beamion LUNG-1 코호트1 업데이트 분석...객관적반응률 71%ㆍ질병조절률 93%

[의약뉴스 in 싱가포르] 베링거인겔하임의 HER2 TKD 돌연변이 표적치료제 존거티닙이 비소세포폐암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다.

6일, 싱가포르에서 개막한 유럽임상종양학회 아시아 총회(ESMO ASIA 2024)에서는 이전에 HER2 표적치료 이력이 있는 HER2 TKD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존거티닙을 평가하고 있는 beamion LUNG-1 임상 1b상 코호트1에 대한 추가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이 연구에는 총 75명의 환자가 배정됐으며, 이 가운데 28명(37%)은 기저시점에 뇌 전이가 있었다.

▲ 베링거인겔하임의 HER2 TKD 돌연변이 표적치료제 존거티닙이 비소세포폐암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다.
▲ 베링거인겔하임의 HER2 TKD 돌연변이 표적치료제 존거티닙이 비소세포폐암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다.

분석 시점에 환자들의 치료 지속기간 중앙값은 8.5개월이었으며, 1차 평가변수인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은 71%, 질병조절률(Disease Control Rate, DCR)은 93%에 달했다.

6개월 반응지속률(Duration of Response, DoR)과 무진행생존율(Progression-Free Survival, PFS)은 각각 73%와 69%로 보고됐으며, 반응이 있었던 환자 중 55%는 분석 시점까지 치료를 유지하고 있었다.

기저시점에 뇌전이가있었던 환자 중 평가가 가능했던 27명을 분석한 결과, 두개내 객관적반응률은 37%로 집계됐다.

치료와 관련한 3등급 이상의 이상반응은 17%로 3등급이 16%, 4등급이 1%였으며, 5등급은 없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이상반응은 설사로, 51%에서 보고됐으나, 3등급 이상은 1%로 모두 3등급이었다.

이외에 간질성폐렴은 보고되지 않았고, 이상반응으로 인해 치료를 중단한 환자는 3%(2명)에서 발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