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19:40 (수)
권영희 “이너서클 실체 밝혀야” vs 최광훈 "세이프약국 거짓 해명" 外
상태바
권영희 “이너서클 실체 밝혀야” vs 최광훈 "세이프약국 거짓 해명" 外
  •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 승인 2024.11.21 20: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영희 “최광훈 후보는 이너서클의 실체를 밝혀라

▲ 권영희 후보는 최광훈 후보가 집행부 내 이너서클을 조직해 회무를 운영했다는 의혹에 해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권영희 후보는 최광훈 후보가 집행부 내 이너서클을 조직해 회무를 운영했다는 의혹에 해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41대 대한약사회장 선거에 출마한 권영희 후보가 최광훈 집행부 내 이너서클 의혹에 대한 해명을 촉구했다.

20일, 대한약사회 중앙선관위원회와 약사회 출입기자단 공동 개최한 대한약사회장 후보자 첫 번째 정책토론회에서는 최광훈 집행부 내 이너서클이 회무를 좌지우지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이와 관련, 권 후보는 “대한약사회는 역대 여러 집행부에서 이너서클에 대한 논란이 많이 있었다”며 “특히 김구 집행부에서는 이너서클에 의해 정부와의 전향적협의가 결정됐으며, 그 결과 편의점 상비약을 내주게 됐다는 의혹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로 인해 회원들은 대한약사회 집행부에 대한 불신이 생겼다”며 “회무에 참여했던 대다수 임원은 허수아비가 됐다는 자괴감으로 힘든 시절을 보낸 기억이 있고, 지금도 회원들은 집행부 내 이너서클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가운데 “어제 정책토론회에서 최광훈 집행부에 이너서클 존재 의혹에 대헤 당사자인 최광훈 후보는 부정했으나, 이너서클 멤버로 지목받은 박영달 후보는 부정하지 않는 답변을 했다”며 “우리 회원들은 이너서클 실체에 대한 진실을 알 권리가 있으니, 최광훈 후보는 전 회원 앞에 이너서클의 진실을 공개적으로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나아가 “대한약사회는 사단법인으로서 정관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상임이사회, 이사회, 대의원총회의 공식 의결기구에 의해 운영이 돼야한다”며 “사조직이 아닌 대한약사회가 상임이사회가 아니라 사조직인 이너서클에 의해 회무가 좌지우지된다면 이를 납득할 회원은 아무도 없을 것이기에 지금이라도 이너서클의 실체를 밝히고 대한약사회를 정상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최광훈 “권영희 후보, 세이프약국 거짓해명 사죄해야”

▲ 최광훈 후보는 권 후보가 세이프약국 문제를 거짓으로 해명했다고 지적했다.
▲ 최광훈 후보는 권 후보가 세이프약국 문제를 거짓으로 해명했다고 지적했다.

제41대 대한약사회장 선거에 출마한 최광훈 후보가 20일 진행된 대한약사회 선거 후보자 정책토론회에서 불거진 세이프약국 논란에 대해 권영희 후보의 사죄를 촉구했다.

토론회에서 최 후보는 권 후보를 향해 “서울시와 서울지부가 지난 10년을 공들여서 약사의 영역으로 올려두고 수가를 만들 수 있었던 세이프 약국은 지금 어디로 사라졌느냐”고 질문했다.

이에 권 후보는 “세이프약국을 날려먹지 않았다”며 “서울시 시범사업은 건보공단의 사업을 인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세이프약국은 공단의 다제약물 사업으로 계승된 성공적인 사례이므로 본래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최 후보는 권 후보의 답변이 궤변이며 명백한 거짓말이라 주장했다.

그는 “세이프약국은 지난 2013년 서울지부가 서울시와 함께 건강증진협력약국이라는 이름으로 설계한 사업이었고 건강서울 36.5에 포함된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약국을 통해 약력관리, 금연, 자살예방활동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며 “당시 의사협회가 반발에 결국 사업명을 세이프약국으로 변경해 우여곡절 끝에 시작했고, 약사 상담만으로 수가를 받은 최초의 사업었다”고 강조했다.

반면 “건보공단의 다제약물관리사업은 2018년부터 질환중심에서 환자중심의 다제약물 복용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했다”며 “의약전문가(의사, 약사, 간호사)의 가정방문, 약국상담, 유선상담 등을 통한 복용 약 점검 및 약물 상담, 상담의견서 전달, 모니터링 등이 이뤄지는데, 약국의 경우만 봐도, 병원약국과 지역약국의 모델로 판이하게 구분되어 성과도 따로 집계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처럼 두 사업의 기본적인 정의와 구성만으로도 알 수 있듯 세이프약국과 다제약물관리사업은 완전히 다른 사업으로, 권 후보의 주장과 달리, 2023년 예산이 전액 삭감되며 갑자기 사라진 서울시의 세이프약국을 다제약물관리사업으로 인계한다는 발표는 서울시나 건보공단 어느 쪽에서도 없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권영희 집행부의 언론 인터뷰에서도 두 사업의 성격이 다르고, 사업 인계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실제 당시 한 언론이 보도한 세이프약국 예산 삭감 관련 기사에 따르면 서울시약사회 관계자는 아직 추경 가능성은 남아있으며 시에서도 세이프약국 관련 연구용역 결과가 곧 나오니 올해는 개선점들을 재점검해 새롭게 단장하는 기회로 만들겠다고 추경으로 세이프약국을 살리겠다는 입장을 밝혔었다”고 꼬집었다.

이에 “결국 권 후보는 뻔히 들통 날 사실을 전 약사회원이 보는 정책토론회에서 그저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버젓이 거짓말을 했다”며 “권 후보는 문제를 해결할 생각은 하지 않고 덮으려고만 했다고 볼 수 밖에 없다”고 힐난했다.

 

◇연제덕 후보, "대체조제 고지 의무 폐지ㆍ국가 보증 전환 추진“
경기도약사회장 선거에 출마한 연제덕 후보가 품절약으로 고통받는 회원들을 위해 대체조제 활성화를 약속했다.

연제덕 후보는 20일 광명시약 회원들을 방문해 의견을 수렴한 결과,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품절약 문제로 인한 약국가의 고충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연제덕 후보는 "품절약 문제가 5년 째 이어지고 있는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대체조제 활성화를 위한 입법 활동이 필수"라며 "환자에게 대체조제 고지 의무를 폐지하고 국가 보증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변경을 강하게 추진하겠다"고 대체조제 활성화를 위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이 가운데 "국회에 발의된 대체조제 활성화 법안은 약사법 제27조 대체조제 조항을 수정하는 것으로, 약사 대체조제 사후 통보 방식을 간소화해 제도활성화를 독려하는 방식"이라면서 "대체조제 사후통보 간소화에 수용 입장이었던 보건복지부가 최근 의료계와 동일한 논리로 신중검토로 입장을 번복하는 등 의료계의 반대를 넘어야 하는 큰 과제가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체조제 사후 통보 절차 개정 방안과 별도로 환자에게 대체조제 사실을 고지하는 조항에 대해 고지 의무를 폐지 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며 "대체조제 활성화로 향하는 가장 큰 장애 가운데 하나를 제거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