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유발 유전체 규명 등 주요 10대 성과 발표
복지부는 지난 2000년부터 추진해온 한국인 유전체연구사업 성과에 대한 종합발표회를 27일 교육문화회관에서 개최했다.
복지부는 이날 지난 4년간 한국인의 유전정보 DB 및 유전자원 관리체계 구축, 1천여개의 질환유발 유전체를 규명하는 등 주요 10대 성과를 발표했다.
주요 10대 성과로는 ▲한국인의 상병정보 및 유전체 시료분석을 연계한 유전체 DB 구축 ▲국내 최대 유전자원 수집 및 보존 등 관리체계 구축 ▲3만5천여명 환자를 대상으로 1천여개의 질환관련 유전자 및 1천여개의 신규 SNP를 발굴을 통한 맞춤식 치료방법 개발 기반 구축 ▲세계 최초로 습관성 유산 원인 유전자 규명 ▲비만과 당뇨병 관련성 및 새로운 원인 유전자 발견 ▲비브리오 패혈증 유전체 염기서열을 세계 최초 완전 해독 ▲결핵균 K균주 유전체 염기서열 완전해독 및 유전자발현 분석 ▲약물대사효소 유전자 및 약물수송단백 유전자의 변이 유전자 발굴 ▲세계 최초 혈액단백체 지도 초안 완성 ▲수명 조절 다우몬 분리, 정제, 합성 성공 등이다.
복지부는 이날 발표회에서 ‘한국인 유전체 연구사업’에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총 840억원을 투입했으며, 2010년까지 1천억원을 추가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복지부는 또 한국인의 유전자원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통해 한국인 호발질환의 원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을 더욱 활성화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의약뉴스 홍대업 기자(hongup7@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