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19:40 (수)
의약품 부작용 건수, 매해 146% 폭증
상태바
의약품 부작용 건수, 매해 146% 폭증
  • 의약뉴스
  • 승인 2005.04.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약청, 사례 공개 꺼려…시민단체 "대책 전무"
의약품 부작용 건수가 최근 3년간 평균 145.6%나 증가하고 있지만, 식약청이 구체적인 사례공개를 꺼리는 등 대책마련에 소극적인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본지가 12일 입수한 식약청의 '의약품 부작용보고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의 경우 907건의 부작용 사례가 2003년보다 230.8%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업자 및 제조업자로부터 접수되는 의약품부작용 사례는 지난 2000년에는 185건에 그치던 것이 2001년에는 363건으로 196.2%나 폭증했다.

2002년에는 148건으로 59.3%가 격감했지만, 2003년에는 다시 393건으로 무려 265.5%나 늘어나는 등 매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식약청의 부작용보고 처리건수 역시 ▲2000년 122건 ▲2001년 227건 ▲2002년 101건 ▲2003년 263건으로 집계되는 등 증가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4월 '안전성정보관리규정'이 개정된 이후 부작용 접수건수가 크게 늘고 있으며, 처리건수는 511건에 달했다.

이처럼 의약품 부작용 접수건수가 매해 급증하고 있는데도 식약청이 구체적인 사례 공개를 꺼리고 있어 의구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12일 "통상 의사나 약사, 소비자가 수입업체 및 제조업체에 약물 부작용을 제보하게 된다"면서 "이 경우 수입업체 등은 15일 이내에 식약청에 보고토록 돼 있다"고 전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약물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인과관계가 명확치 않아 공개를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부작용 사례가 접수되면 일단 허가사항에 반영된 것인지, 아니면 극소수의 부작용인지를 먼저 파악한다"면서 "이를 데이터화시키는 것이 식약청에서 하고 있는 처리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 관계자는 "현재 약화사고로 사망하는 수도 엄청나다"면서 "주무부처인 복지부나 식약청이 약화사고가 발생할 때만 땜질식으로 처방하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관계자는 "의약품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먼저 약물 부작용에 대한 자료부터 수집해야 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의약뉴스 홍대업 기자(hongup7@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