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사실이라면 지자체 간 갈등으로 애물단지가 되어버린 철교를 팔아 골칫거리를 없애겠다는 의도인 듯하다.
남동구는 남동구에 모두 팔거나, 나눠 팔더라도 양쪽 통행이 보장되기를 바라고 있지만 소래철교를 둘러싼 두 지방자체 간의 갈등은 재발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길이 126.5미터, 너비 2.4미터인 소래철교가 가로 놓여 있는 갯골의 절반이 행정구역상 시흥시 소유이기에 때문에 언제라도 월곶 쪽의 출입구를 봉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래철교의 안전성을 이유로 시흥시가 철거를 운운할 때마다 “한·일간의 분쟁을 뿌리 뽑기 위해 원인 제공물인 독도를 폭파하자”던 모 정치인이 떠올랐다. 얼마 전 다리 한 쪽을 철판으로 막았다는 보도를 접하는 순간 남과 북을 가로 막고 있는 임진각의 ‘자유의 다리’와 휴전선 내‘돌아오지 않는 다리’가 연상된 것은 지나친 도약이었을까.
간혹, 아파트 가격이 하락한다며 저소득층 자녀들이 이용하는 통학로 지름길에 담장을 쌓거나, 개인의 재산권을 행사하기 위해 오래 전부터 주민들이 사용해 오던 마을 입구에 땅주인이 철망을 쳤다는 뉴스를 들은 적은 있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민들과 관광객들이 왕래하는 다리의 출입구를 막았다는 소리는 난생 처음인 것 같다.
이를 두고 지방자치 분권의 오·남용이라며 지방자치제를 폐지하고 공무원을 단체장으로 임명해야 한다는 여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소래철교는 평범한 다리가 아니라 주민들의 애환을 간직한 역사적인 유물이다.
우리나라를 침략한 일본이 공출이라는 미명하에 농민들로부터 수탈한 곡물을 일본으로 운반하기 위해 건설했기에 ‘치욕의 역사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안겨주는 다리이다.
61년 전 6.25 전쟁 당시 소래철교는 피난민들이 이용해야 하는 지름길이었다.
당시엔 보호 난간이 설치돼 있지 않았고 철로 침목 사이를 덮지 않아 적지 않은 피난민들이 바다로 떨어져 목숨을 잃은 슬픈 사연을 간직한 곳이기도 하다.
혹자는 시흥시가 경기도 관할지역인‘소래’라는 지명을 무단으로 사용했다며 ‘소래철교’, ‘소래포구 축제’란 명칭조차 사용할 수 없게 하지 않은 것만도 다행이 아니냐고 반문한다.
지난달 20일, 소래철교가 안전 보수 공사를 마치고 20개월 만에 개통되자 남동구와 월곶 주민은 물론 전국의 관광객들은 모두가 이를 반겼다.
월곶 지역 상인들은 “왕래객이 거의 없어 상권이 죽었던 거리가 소래철교 개통으로 되살아났다‘며 반겼지만 유독 시흥시만은 개통을 반기지 않았다.
관광객이 소래포구에만 몰리고 월곶엔 관광객들이 타고 온 차량과 그들이 버리고 간 쓰레기만 남기 때문이라고 한다.
철교 소유주인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시흥시가 설치한 철판을 제거하자 다음날 새벽 5시에 시흥시는 직원을 동원해 다시 철판을 용접해 출입구를 봉쇄했다.
이 과정에서 상권을 살리려면 철교를 개통해야 한다며 용접을 막던 월곶 상인 2명이 병원에 실려 가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철판을 다시 철거하며 국유 시설에 불법으로 철판을 설치하면 시흥시를 고발하겠다며 감정의 날을 세우기도 했다.
이를 보다 못한 한나라당 이윤성(인천 남동 갑) 국회의원은 23일 "인천시 남동구와 경기도 시흥시가 상인들의 생존권을 외면한 채 자존심 싸움을 할 때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남동구에서 보수·보강 공사를 마친 소래철교에 대해 안전에 이상이 없다고 사용을 허가했다.
이런 절차와 결정을 무시한 채 소래철교를 폐쇄하려는 것은 시흥시의 억지이며 월권행위라고 밖에는 볼 수 없다.
지방자치제는 주민의 행복 지수 상승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이다.
시흥시는 소래철교의 철거와 출입구 봉쇄만 주장할 것이 아니라 다리를 건너 온 관광객들의 발걸음을 잡을 수 있는 관광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소래철교가 지역 상권을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양측 지자체 단체장들은 상부상조하기 바란다.
주민과 관광객들은 소래철교의 영원한 개통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