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총선을 앞 둔 여야 정치인들을 보며 떠오르는 단어이다.
5천 년 역사를 자랑했던 단일민족이 다문화가정으로 바뀐 탓인지 여와 야의 주체성과 색깔의 구분도 없어진 듯하다.
얼마 전, 황우여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0 ~ 4세 전면 무상보육’을 발표했다. 야당인 민주당 정책을 복사하려는 듯 여당이 반값 등록금을 들고 나와 어안이 벙벙했는데 이번엔 무상급식도 모자라 무상보육을 보수 여당에서 주장하다니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철없는 자녀의 낭비벽을 막고 나무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듯 야당의 망국적 선심 정책에 쐐기를 박아야 하는 여당의 사명감을 망각한 처사이기 때문이다.
국회 저축은행 국정조사특별위원회는 부산저축은행 사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안을 제시하기보다 ‘5천만 원 예금자 보호법’을 무시한 채 2억 원까지는 전액, 2~3억 원은 90%, 3억 원 이상은 80% 보상해 주자는 선심정책을 펼쳤다.
반면에 정부는 “국제 신인도가 하락하고, 2009년 영업정지 된 금융기관 피해자들과의 형평성 문제, 장차 발생할 유사사례에 선례가 될 수 있어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하게 밝혔다.
얼마 전, IOC 위원인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조양호 유치위원장,박용성 대한체육회장,그리고 김연아 선수와 나승연 유치위 대변인을 비롯해 강원도 평창 군민들이 피와 땀으로 동계 올림픽 유치의 뜻을 달성한 바 있다.
“피겨는 개인적인 사사(私事)요, 평창은 국가적인 국사(國事)였기에 나 하나 잘못되면 어쩌나하고 더 힘들었다”고 심경을 밝힌 김연아 선수는 국민 환영행사에 참석조차 못할 정도로 그동안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육체적인 피로를 감수해야 했다.
하지만 이들의 노고를 염두에 두지 않은 채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남북공동 개최 운운하며 정치적으로 이용하기에 급급했다.
일본 국회의원들의 독도 방문 시도가 있은 후 모 장관은 독도로 날아가 철모와 군복을 착용한 후 보초를 서는 코미디 쇼를 연출했다고 한다.
일부 여야 국회의원들은 ‘독도영토수호대책특별위원회’라는 거창한 특위를 만든 후 독도에서 회의를 개최하겠다고 대대적인 홍보를 했다.
태풍으로 경찰 헬기가 이륙하지 못해 기름 한 방울 안 나는 국가의 예산 낭비를 막은 것은 다행이 아닐 수 없다.
진정 독도를 사수할 마음이 있다면 독도를 배경으로 선거용 홍보 사진이나 찍는 정치 쇼를 할 것이 아니라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겠다는 미국과 영국의 입장을 변화시키는 외교전에 총력을 기우려야 할 것이다.
지난달 11일, 홍준표 여당 대표는 영남권 신공항 건설을 재추진할 뜻을 지방 언론사 기자들에게 밝혔다고 한다.
당 대표로 당선되기 이전인 지난 6월에도 '대구·경북권 비전발표회'에서 "당 대표가 되면 영남권 신공항을 다시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니 단순한 해프닝은 아닌 것 같다.
영남권 신공항 건설은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인들이 대선과 총선 때 득표를 위해 영남지역 유권자들을 농락했던 국책사업이었다.
하지만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는 입지적으로나 경제성으로나 후보지로서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신공항 입지평가위원회에서 내렸다.
양쪽 지역 주민들의 강력한 항의에도 불구하고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4월, 대 국민 사과와 함께 “공약을 지키는 것이 국익에 반할 때는 계획을 변경하는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며 사업을 백지화시킨바 있다.
대통령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건설을 강행했더라면 중복투자로 인한 국가예산 낭비, 지역이기주의로 인한 국론분열 등 엄청난 부작용을 초래했을 것이다.
당시, 인천지역구 박상은 국회의원은 “국가 부채 200조 원 시대에, 전국 2시간 권 지역에 위치한 인천국제공항을 놔두고 고유가와 세계적인 경제 불황 속에서 경제성 없고 국제 경제력을 떨어트리는 또 다른 국제공항을 좁은 땅덩어리 안에 건설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었다.
불과 몇 개월이 지난 지금 신공항의 입지 조건과 국내외 경제 상황이 과거와 달라진 것이 없기에 홍 대표의 발언은 또 다시 선거에 지역 주민을 이용하겠다는 의도로 비쳐질 뿐이다.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득표도 중요하지만 정치인들은 자신의 언행이 주책과 노망에 해당되지 않는지 심사숙고해야 할 것 같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