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12:13 (금)
류마티스 관절염, 대동맥판막 협착증 위험 증가와 연관
상태바
류마티스 관절염, 대동맥판막 협착증 위험 증가와 연관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3.08.01 05: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청구자료 분석... 관련 사건 발생 위험 48% ↑

[의약뉴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대동맥판막 협착의 발생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대동맥판막 협착의 발생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대동맥판막 협착의 발생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의사협회지 JAMA Internal Medicine에는 31일자로 미국 청구 데이터 등을 토대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대동맥판막 협착 위험을 분석한 코호트 분석 결과가 게재됐다.

연구에서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7만 3070명과 성향 점수에 균형을 맞춘 비(非)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63만 926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대동맥판막 협착증 관련 사건의 발생률을 비교했다.

대동맥판막 협착증 관련 사건은 이와 관련한 입원, 외래 방문, 판막 교체술, 수술, 대동맥판막 협착증으로 인한 사망 등으로 정의했다.

분석 결과 전체 환자에서 대동맥판막 협착증 관련 사건의 발생률은 622만 3150인년(person-years)에 1만 6109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는 대동맥판막 협착증 발생률이 1000인년 당 3.97건(95% CI 3.91~4.13), 비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는 1000인년 당 2.45건(95% CI 2.41~2.49)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1000인년 당 1.52건이 더 많았다.

대동맥판막 협착증 관련 사건의 발생 위험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48% 더 높았으며(aHR=1.48, 95% CI 1.41~1.55), 판맥 관련 중재술의 위험은 34%(aHR=1.34, 95% CI 1.22~1.48), 대동막판막 협착 관련 사망의 윟머은 26%(aHR=1.26, 95% CI 1.04~1.54) 더 높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